-
-
엄마 마흔, 시작하기 좋은 나이
장연이 지음 / 두드림미디어 / 2025년 6월
평점 :

『엄마, 마흔 시작하기 좋은 나이』는 평범한 주부였던 저자가 마흔이라는 인생의 전환점에서 자기 자신을 재발견하며 시작한 성장의 기록이다. 아이 셋을 키우며 가족을 우선시하던 삶에서, 점차 ‘나’라는 존재에 집중하고 진짜 원하는 삶을 찾아가는 여정을 담고 있다. 자격증 공부, 취업 준비, 일과 육아의 병행, 관계의 재정비 등 여성들이 중년을 지나며 마주하는 현실적인 고민과 선택이 솔직하고도 따뜻하게 풀어져 있다. 이 책은 단순한 성공담이 아니라 ‘엄마’라는 정체성을 넘어선 한 사람의 삶의 회복과 자기 성장기다.
마흔, 두 아들의 엄마가 나를 불러낸다.
나는 딸 하나의 엄마다.
언젠가부터 ‘나’보다 아이가 먼저였고, 하루의 중심은 늘 아이의 밥과 잠, 학교와 숙제, 감정과 사건들이었다. 아이의 머리가 굵어져 가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는 지금 잘 살고 있는 걸까? 그리고, 나는 지금 누구인가?”
귀농·귀촌을 한 후로, 두서없이 농사짓고, 농업기술 배우고 하면서,
잃어버렸던 나의 꿈에 대해선 생각조차 못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이 책을 만났다.
『엄마, 마흔 시작하기 좋은 나이』는 꿈을 잃은 채 살아가고 있는 내게 따뜻한 손을 내밀었다.
저자의 글에 공감이 간다. 평범한 엄마로, 아내로, 여성으로 살아가다가 마흔이라는 시간 앞에서 멈춰선 저자, 그리고 그 자리에서 용기를 내는 엄마, 대단하다. 그녀를 통해 다시 나를 돌아보고, 나를 찾아가고, 나를 살아가기로. 결심해본다. 나의 여정도 그녀와 마찬가지로 거창하지 않다. 오히려 너무 익숙하고 낯익은 장면들이다.
“아이를 재워놓고 혼자 마시는 커피 한 잔,
‘엄마는 왜 매일 화가 나 있어?’라는 말에 무너지는 마음,
오랜만에 써보는 자기소개서 앞의 긴 침묵…”
이 모든 장면이 꼭 나의 이야기 같아, 책을 읽으며 여러 번 울컥했다.
하지만 이 책이 단지 공감만 주는 것은 아니다.
조금씩 변화하는 저자의 일상에서, 내 마음도 같이 움직였다.
‘나도 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나도 해볼래’라는 다짐으로 바뀌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아이에게 좋은 엄마가 되기 위해 나는 나를 잊고 살았다.
하지만 이 책은 말한다.
“아이를 위해서라도, 엄마 자신이 행복해야 한다.”
그리고 그 행복은 멀리 있지 않다고….
나를 다시 부르고, 나를 다시 아껴주고, 나를 다시 믿는 것에서 시작된다.
이 책은 자기계발서이자, 치유 에세이다.
마흔이라는 나이가 두렵게 느껴지는 엄마들에게,
아이의 하루를 책임지며 살림과 일을 병행하며 지쳐 있는 나같은 이들에게,
“지금, 여기서 다시 시작해도 늦지 않다”라고 말해주는 이 책은 따뜻한 친구다.





그녀는 작은 것부터 시작하라고 한다. 작은 성공이 모여서 큰 성공이 된다고….
또 그녀는 시간을 압축하라고 한다. 1시간 할 것 10분에 하는 방법을 터득하라고,
그러기 위해서는 주변 정리를 단순하게 해서 선택할 것이 적게 해서 시간과 열정을
허투루 쓰지 말라고 말한다. 꿈을 이루려면 미니멀리즘이 필요하단다.
아이젠하워의 매트릭스는 4가지 카테고리로 일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도구다.
1순위는 긴급하고 중요하지 않은 일, 2순위는 중요하지만 긴급하지 않은 일, 3순위는 긴급하지만 중요하지 않은 일, 4순위는 긴급하지도 중요하지도 않은 일이다. 일의 우선순위는 1위가 가장 높지만, 꿈을 이루고자 한다면 2순위에 집중해야 한다고 : p86
읽고 나면 꼭 누군가에게 선물하고 싶은 책. 나처럼 묻고 있는 모든 엄마에게 전하고 싶다.
“괜찮아, 지금도 충분히 잘하고 있어. 그리고, 이제는 너를 위해 살아도 돼.”라고 말하는 책을….
추천 포인트!
책을 읽고 난 후의 느낌은, 마흔 이후의 자기 성장을 고민하는 여성 독자에게 공감과 용기를 준다는 것이다. 자존감 회복, 자기 계발, 일과 육아의 균형 등 현실적인 주제를 따뜻하게 풀어낸다. <엄마>라는 이름 뒤에 숨은 ‘나’를 다시 찾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