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호프 단편선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0
안톤 파블로비치 체홉 지음, 박현섭 옮김 / 민음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 처음 소개된 안톤 체호프의 단편소설 모음집인데, 정서적으로 큰 차이를 느낄 수 없는 러시아 문학이라는 점에서 좋았다.

삶의 본질을 다루는 감각이 참으로 멋스럽다.

그리고... '뜻 밖의 귀가'라는 레빈의 작품은 이 책의 표지로 아주 잘 어울렸다.

1. 관리의 죽음 : 극장에서 권력자인 장군의 뒤통수에 재채기를 한 죄책감으로 안절부절 못하던 주인공이 결국 죽음에 이르는 이야기로 '그리고 그는 죽었다.'라는 마지막 문장이 매우 인상적인 작품이다. 이 작품을 쓸 당시 체호프는 실명을 밝히지 않고, 체혼테라는 익살스런 닉네임을 사용했었다.

2. 공포 :  체호프는 이 글을 쓰던 시점에 '멜리호보'라는 닉네임을 사용했었다. 친구의 부인을 짝사랑 하다가 결국 불륜을 저지르는 이야기는 우리 드라마에서도 어렵지 않게 경험할 소재이지만 체호프의 글맛으로 독특한 느낌을 전해 주고 있다.

3. 베짱이 : 개미와 베짱이라는 우화를 생각할 수 있는 이 단편은 자기 세계에서 인정받은 위대한 남편을 무시하고 베짱이처럼 편히 지내다가 그 착한 남편을 배신하고 쾌락과 불륜을 추구했다가 늘 헌신적이던 남편의 죽음 앞에 절규할 수 밖에 없었던 부질 없는 후회를 다룬 베짱이 같은 속물적인 여인의 이야기이다.

4. 드라마 : 체호프 글맛의 또 다른 맛을 느끼게 해 준 이 작품은 문필가의 꿈을 가진 소질 없는 한 여인이 위대한 문필가를 찾아와 인정을 받고자 노력하지만 그녀의 소질 없음에 고통 받다가 열받아서 죽여 버리고 마는 황당무계함의 단편이다. 살인에도 불구하고 정상참작~ 배심원들은 그에게 무죄를 선고한다.

5. 베로치카 : 애정을 느낀 여인으로부터 사랑 고백을 받고 냉정해지는 미묘한 감정을 다룬 작품이다. 사랑이란 참 알 수 없다는 진리는 이 작품처럼 동서고금을 초월한다.

6. 미녀 : 주인공이 인생에서 만난 두 명의 미인에 대한 애절한 감정을 글로 정리한 이 작품은 감동적인 미녀를 만난 순간의 슬픔과 주관적인 美의 의미를 이야기 하고 있다.

7. 거울 : 약혼자를 이야기 하다가 두루뭉술하게 남편이 되어 있었는데, 그 남편이 병들어서 죽음에 이르는 무지막지한 사건을 경험했는데, 알고보니 꿈... 이 얼마나 다행인가? 짧지만 재미있는 작품... 자신에게 닥친 불행이 꿈이기를 기대하는 그런 많은 소망으로 그날 그날 고통을 겪어 가고 있는 우리들을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었다

8. 내기 ;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선악설을 교차한 듯한 이 작품은 재미있는 인간 교화론을 다룬 작품이다. 내 현재의 상황을 놓고 볼때 가슴에 확 와닿는 작품이 아닐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