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1
윌리엄 포크너 지음, 김명주 옮김 / 민음사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해들어 참으로 재미있게 읽은 소설이다.

몇 가지 궁금한 점 때문에 다시 읽게 된 이 소설은 처음 읽을 때의 지루함은 사라지고, 읽고 또 읽는 즐거움과 더불어 은은하게 다가오는 메타포의 기쁨이 있었다. 불씨와 여울목, 별과 달빛 등 시선을 잡는 하나하나 열거할 수 없을만큼 다양한 대상과 소재들로 문학의 기쁨을 창조해 낸 포크너가 왜 노벨문학상 수상자인가를 자연스럽게 느끼게 해주기에 충분했다.

"그는 나의 십자가이고 동시에 나의 구원일 거예요. 그는 나를 물과 불에서 구해낼 거예요. 비록 내가 삶을 포기할지라도 그가 나를 구할거예요." 언젠가 코라 앞에서 애디가 말한 그는 하느님이 아닌 그녀의 셋째 아들이었다.

애디는 아버지의 말씀을 추억한다. 우리가 살아 있는 이유는 오랫동안 죽어있을 준비를 하기 위해서라고... 이러한 독백은 그녀가 관 속에 죽어 누워 있을 때의 관점인지 아닌지는 모르겠다. 이 책의 200페이지를 전후로 펼쳐지는 그녀 애디의 관점은 몹시 혼란스럽던 앞의 글과 복잡한 인간관계의 사슬들을 명쾌하게 정리해준다. 급한 마음으로 이 소설을 읽으려 할 때는 '애디'의 장을 먼저 읽어보라 권하고 싶다.

바더만을 독백한다. 주얼이 떠나버렸다. 어느날 저녁 말과 함께 사라져버렸다. 주얼의 엄마는 말이고, 나의 엄마는 물고기다. 물속에 가면 엄마를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다. 내가 뚫은 구멍으로 빠져나갔을지도 몰라. 엄마는 상자 속에 있지 않아. 엄마에게서는 저런 고약한 냄새가 나지 않거든. 우리 엄마는 물고기다.
막내인 바더만의 시선은 늘 아름답다. 저 새들은 밤이면 어디로 가지? 오늘밤 우리가 헛간에 있는 동안 저 새들은 어디에 머무르는지 살펴봐야겠다. 바더만의 눈은 시인의 눈인 듯 아름답고, 그로인해 포크너의 글맛이 더욱 살아난다.
그러나, 한참 뒤 다른 장에서 만나는 바더만의 글은 슬픔이다. 새들이 밤에 어디 있는지 보려고 헛간에 갔을 때 난 보았다. 그런데 듀이 델은 아무에게도 말해서는 안된다고 했다.

"두달전에 이미 멈춰버렸어요.여자 몸에 듣는 약이 필요해요. 엄마는 바깥 마차에 있어요. 그이가 주었어요. 10달러나요. 그 정도면 될거라고 했어요." 그나마도 아버지는 그 돈을 빼앗아 버렸다.

미쳐버린 방화범 달은 잭슨의 닭장으로 붙들려 떠나고, 캐시는 뒤늦게 피바디 의사를 만나 시멘트로 더 손상된 다리를 치료한다.

애디를 땅에 묻기 위해 삽 두 자루를 빌렸던 앤스는 삽을 돌려주기 위해 간다더니 삽을 빌려줬던 그녀를 데려와서 캐시와 주얼, 듀이 델, 바더만에게 소개하며 새 엄마  번드런 부인이라고 이야기 한다. 소설은 그렇게 끝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