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레바퀴 아래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0
헤르만 헤세 지음, 김이섭 옮김 / 민음사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나에게 방황하는 청소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을 꼽으라면 '호밀밭의 파수꾼'과 함께 이 책을 말하고 싶다.

어린시절 '수레바퀴 밑에서'라는 제목으로 번역된 이 책을 읽고, 그다지 감동을 받지 못했었는데... 중년이 되려는 나이에 읽으니 훨씬 편하고 친근하다. 헤르만헤세의 자신의 자전적 소설인 이 책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고 있다.

민감한 정신의 소유자이자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어린 신학도 한스 기벤라트는 헤세의 분신이다. 그가 엄격한 신학교의 규율을 이겨내지 못하고 신경쇠약에 걸려 학교에서 쫓겨난 점, 작은 고향 도시로 돌아와 공장의 견습공으로 새로운 삶을 열어보려 했던 시도 등은 헤세의 우울한 청소년기와 겹치는 장면들이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헤세가 세계와의 갈등을 극복하고 마침내 자아를 발견하여 자신의 고통스런 체험을 예술로 승화시킨 반면 한스는 엄격하고 딱딱한 집안 분위기, 그에 버금가는 학교 교육 및 사회의 전통과 권위에 눌려 파멸하고 만다는 점이다. 그랬을 때 "수레바퀴 아래서"란 비유적 표현에서 우리는 한 개인의 내면과는 상관없이 강압적으로 돌아가는 물리적 세계의 톱니에 짓눌린 여린 영혼을 떠올릴 수 있다.


146페이지에서 처음 언급되는 수레바퀴는 다음과 같다.
신학교에서 성적이 떨어진 한스에게 교장선생님이 격려와 더불어 앞으로 더 열심히 공부하라며 손을 내미는 장면이다.
"그럼, 그래야지. 아무튼 지치지 않도록 해야하네. 그렇지 않으면 수레바퀴에 깔리게 될지도 모르니까"

그리고 또... 내가 기억하는 두 번째의 수레바퀴는 이렇다.
엠마와 사랑에 빠지려는 순간의 당황과 수즙음의 묘사인데, 207쪽에 있다.
'그래서 한스는 마음의 상처를 입고 당황한 나머지 수레바퀴에 치인 달팽이처럼 축수를 움츠리고 껍질 속으로 기어 들어가버렸다'

제목이 제목이니만큼 이런 구절들을 기억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