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의 시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83
이디스 워튼 지음, 송은주 옮김 / 민음사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표지 그림은 이를 원작으로 한 영화의 한 장면이다. 꽃을 든 배우 얼굴이 작가 이디스 워튼의 생전 사진과 꽤나 닮은 듯 하다.

작가의 성장기 경험과 불행했던 결혼 생활, 그녀 자신의 야심 등이 아름다운 글발로 녹아난 순수의 시대...
보편적인 사회 통념에 굴하지 않고 마음 가는대로 자유롭고 실천적인 삶을 살아가는 가출한 유럽의 한 귀족 부인과 그녀와 사랑에 빠진 뉴욕의 잘 나가는 변호사와의 이루어질 수 없는 애틋한 사랑의 이야기이다.
순수하다는 의미가 뭔가에 물들지 않는 다는 차원이라면 이 소설은 기성 세대들의 눈에 결코 순수하게 보이지 않는 역설을 담고 있다.
그렇게 뉴욕 상류 사회의 위선적이고, 가식적인 인습 및 남성중심의 사회에 당당하게 맞선 한 여인을 중심에 놓은 이 소설은 작가 이디스 워튼에게 여성 최초의 퓰리처 상을 수상하게 한 위대한 작품이기도 한데, 심사위원들의 작품 평가는 한 마디로 골 때린다.
"미국의 건전한 생활분위기와 미국인들의 예의범절 및 남성적 미덕의 가장 높은 기준을 표현했다."
이 엉뚱한 심사평에 이디스 워튼은 황당해 했다고 한다.
19세기 후반, 보다 구체적으로 1870년대 뉴욕의 분위기를 치밀하게 잘 그려낸 이 소설을 읽노라면 한 세기를 훨씬 뛰어 넘은 뉴욕의 풍경이 마치 눈 앞에 보여지듯 생생하다. 시공을 초월하여 이루지 못한 첫사랑이나 혹은 애틋한 회한의 추억이 있는 중년에게 이 소설은 제법 특별하게 다가갈듯 싶다.

1870년 대, 고민없이 살아가는 잘 나가는 뉴욕의 한 청년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는 이렇다.
이 청년은 변호사 '뉴랜드 아처'로 아름다운 처녀 '메이 월랜드'와 장래를 약속한 남부럽지 않은 삶에 미래도 촉망받는 젊은이다.
뉴랜드와 메이는 뉴욕 사교계 사람들 앞에서 당당하게 약혼을 발표하며,. 이제 남은 것은 축복 받는 결혼과 즐거운 중장년의 인생 뿐...
어느 날, 이 티없이 순수한 약혼녀 메이 곁에 '엘렌 올레스카'라는 백작 부인이  함께 하며 그녀는 추문의 중심에 선다.
메이의 사촌이자 어린 시절 뉴욕에서 자란 엘렌은 폭력적인 남편을 피해 유럽을 벗어나 고향인 뉴욕으로 도망쳐 온 것이었다.
엘렌은 한 마디로 가출한 유부녀였으니... 그녀를 바라보는 뉴욕 사교계의 눈은 차갑고 냉소적일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 시절 신대륙의 이미지를 완전히 떨쳐내지 못한 뉴욕은 특히나 뉴욕의 상류사회는 유럽에 대한 콤플렉스가 많았고, 뉴욕 사교계 사람들은 유럽의 상류사회에 대한 열등감을 보다 속물적으로 표현하고 있던 사람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들의 왜곡된 우월 의식은 결코 순수해 보이지 않지만 그들에게 인식된 그것은 순수일 뿐이었고, 엘렌은 그녀 자신의 발언처럼 고르곤의 시선으로 빛난다.

"고르곤은 내 눈을 띄워 주기도 했어요. 고르곤이 사람들을 눈멀게 한다는 얘기는 틀린 말이에요. 그 반대죠. 사람들의 눈꺼풀을 뜨고 있게 고정시켜서 다시는 축복같은 어둠 속에 있지 못하게 만들죠."(358쪽)

세월이 흘러, 홀애비가 된 아처는 장남 댈러스와 함께 업무차 파리에 들른다.
파리는 오래 전 뉴욕의 상류사회로부터 따돌림 받고 추방되다 시피 떠나버린 엘렌이 머무는 곳이다.

"저기, 아버지, 올렌스카 부인은 어떤 분이셨나요? ······ 중략 ······ 그분은 적어도 한 때 아버지의 패니가 아니었던가요?" (435쪽)

뉴랜드의 아들 댈러스가 연인인 패니를 빗대 아버지에게 충격적인 질문을 던진 것이다.
그리고, 돌아가신 어머니의 직접적인 언급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짐작만으로 어머니와 아버지, 엘렌 올레스카의 삼각 관계를 그려낸 것이다. 세월이 흘러도 우물쭈물하며 우유부단한 뉴랜드 아처는 아들을 먼저 올려 보내고 벤치에 앉아 그리운 그녀를 추억한다.
끝내 그녀 곁에 다가서지 못하고 돌아서는 뉴랜드의 발길은 한없이 애틋하다.

아무 것도 모르며 단지 순종했던 것으로만 알았던 아내 메이는 엘렌과의 관계를 눈치 채고서도 모르는 채 눈을 감았던 것이다.
젊어서는 엘렌을 통해 깨닫고, 늙어서는 죽은 메이를 통해 다시 또 깨닫는 뉴랜드의 순수함은 과연 어떤 순수함일까?



송은주 선생의 번역도 세련된 참으로 멋진 소설을 읽어 기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