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플레이션 - 부의 탄생, 부의 현재, 부의 미래
하노 벡.우르반 바허.마르코 헤으만 지음, 강영옥 옮김 / 다산북스 / 201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경제도서<인플레이션>은 비트코인 등
새로운 금융상품이 나오는 상황은
심지어 화폐 경쟁이라 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상황인터라,
두 번 이상은 읽어서 알아두어야 하는
교양도서다 싶어졌더랍니다.
내용은,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다행히도 번역이나 책의 구성이
비전공 독자들을 고려해준 배려가 있다 싶게도
여러번 읽으면 알 수 있겠다는 희망을 갖게
숫자나 도표가 아닌, 말로 풀어내고 있으니,
단어로 구성된 경제도서,
또 다시 읽어봐야겠다 싶었답니다.
<인플레이션>의 부제는 '부의 탄생, 부의 현재, 부의 미래'
즉... 인플레이션이 '부'와 관련됨을 이야기하는데
'돈'의 역사를 긴긴 호흡으로 자세히 알려줍니다.
세계 제국의 흥망성쇄와 관련이 되어 있고,
세계전쟁에서도 적을 혼란시키고자
가짜 화폐를 풀어 경제를 교란시키기도 하며,
또한, 정부 입장에서도 권력을 휘두르고자
돈에 손을 대어 시장을 마음껏 움직이려 합니다.
순진하게, 가진 재화가 잉여가 되는 바람에
시장에서 교환하는 움직임의 경제가 아닌,
돈이 움직이는 시장은 정치권력과 연결된
또 다른 성질의 '권력 도구'로 읽혀집니다.
지폐의 탄생과 함께
인플레이션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돈이 재화가 아닌 지폐로 바뀌면서
명목가치와 내재가치가 또 다르게
지폐는 실물과 또 다른 움직임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설명하기 위해,
이 경제도서에서는 실증과
고전경제학자, 케인즈학파 등
경제학 원론에서 튀어나오는 이론들도
살짝 알려주면서 그 둘간의 차이나
혹은 어느 편이 우세하게 시장에 적용되었던가
그리고 이론적으로 생각한 것과 달리
실제 문제점들은 어떠했는지도
술렁술렁 설명을 이어가고 있기도 했답니다.
독자 입장에서는 수월한 흐름에
당연하게 끄덕끄덕 하며 넘기지만
책을 쭉 다 읽고 보니, 다시 펴보면서
꼼꼼히 공부하듯 봐야겠다 싶어진답니다.
중요한 내용이라, 그 관계를 다시 봐야겠더라구요.
케인즈학파쪽에서는 화폐를 풀어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면 명목적으로는 기업이윤이 올라
노동력을 더 활용하게 되어 시장을 잘 돌리겠거니-
그렇게 주장을 한다지만, 조금은 그렇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생각만큼 효과가 없다 합니다.
노동자 입장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면
실질 구매력은 줄어드는 격이라, 임금인상을 요구하고
그렇다면 기업의 움직임은 또 다를테니 말이죠.
아마 첫 사이클에서는 케인즈학파의 생각대로
움직임이 일어났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보면, 사람들이 전의 상황을 생각하여
또 다르게 움직임이 일어나기 마련이고,
예측이란, 현실로 일어나기가 정확하지는 않으니깐요.
책의 기조는 화폐로 시장을 움직이려는 방법을
그닥 선호하지 않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화폐를 다루는 국가의 움직임에서 선례로
그리 좋은 결과를 맺지 않아왔고,
그리고 '피셔의 방정식'에서의 움직임처럼
직관적으로도 이해할 수 있듯 문제가 있었기에.
책을 읽는 내내, 어려운 개념이지만
큰 분위기로는 시장이 꼭
예상한 것처럼 움직이지는 않으니
그래서 어쨰야 하나 하는 걱정도
슬슬 몰려오기도 했더랍니다.
인플레이션으로 화폐가치가 점점 떨어지니,
그래서 피해를 보는 계층은 저소득층이기도 하다고.
인플레이션에 요동치는 현금을 주로 소유하고 있고
위험 회피를 위해 다른 조치가 쉽지만은 않으니 말이죠.
그래서 책에서는 '부의 미래'를 대비해보고자,
이러저러한 금융자산에 대해 설명도 더해주며
독자들에게 지식을 펼쳐주니, 이를 이해하고
선택하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싶었더랍니다.
경제활동을 한다 해도, 부로 축적하려면
'화폐'에 대해서도 알아야 하겠죠.
교양 경제도서로, 전문적이지만 수월하게
부의 역사, 현재, 미래에 대해 친절히 설명해줍니다.
책을 처음 읽을 때, 한 번만 읽어서는 안된다더니..
세 번은 더 읽어봐야겠다 싶어집니다.
다행히도, 읽고 싶게 만들어진 책이라
틈틈히 공부하듯 읽어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