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교양 - 3,000년간 축적된 모든 지식을 짧지만 우아하게 말하는 법
니혼지츠교출판사 편집부 지음, 김영택 옮김, 모기 겐이치로 감수 / 추수밭(청림출판)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오호라!? 눈이 반짝여지는 신간도서.
연말이 다가오니, 모임에서 대화거리에
지적 자존감을 높여주는 간식같은 느낌의,
즉... 허기를 달래주는 책이랄까요.

번역가가 스낵같은 책이라고
책의 마지막 마무리 글로 써주었는데요.
촤르르~ 읽다보니, 그 느낌! 딱이었어요.








인간의 뇌는 아무리 배워도 끝이 없다.
배움에 관해 뇌가 제한이 없을 수 밖에 없죠.
자꾸 까먹어서요......

게다가 새로운 지식들은 계속 넘쳐나니,
용어만 들어왔거나, 혹은 용어조차도
너무나 생경하다 싶곤 하니,
꾸준히 배워야겠는데....
그런데, 바로 깊이 들어가기가 부담스럽죠.
그럴때, 용기를 주는 <보통의 교양>






인문과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문화예술.
네 분야에 대해 어찌 보면 기본적이다 싶은
목차에서의 느낌이 들었지만요.
<보통의 교양>의 목차는 간단히 적어두어도,





가장 첫 챕터인 '철학'만 펴 보아도
분명 짧고 우아하게 썼다 얘길하지만,
간략하더라도 흐름을 잡고
더불어 그 흐름을 도식화하여
한 눈에 정리가 되기도 하면서
머리속으로 이해와 정리를
친절하게 도와주는 교양 신간도서다 싶어요.






더불어, check this out!
핵심 개념들에 대해서는 좀 더 상세하게
격을 갖추어 설명해주는 교양도서의,
기초지식을 탄탄해 해주는 페이지에요.

'철학'내용을 정리해보고픈데
모든 사상들을 읽어보기는 쉽지 않아서,
그럴때 이번 페이지의 기초지식을 읽어보고서
마음에 드는 사상을 골라 지식의 깊이를 찾아
책을 골라보면 좋겠죠,








조금 전에 경제도서를 읽어보면서
케인즈학파와 고전학파 정도 대충 이해를 하는데
그 책 전에 이 책을 먼저 읽을 걸 그랬네요.
두 가지만 보다가, 이렇게 큰 틀의 설명을 보니,
어떠한 상황인지가 조금 더 수월히 느껴져요.

그 두 이론간의 입장과 더불어,
2008년 리먼 쇼크를 겪고서 또 입장들이 어떤지,
피케티는 또한 어찌하여 신자유주의에 대해
설을 풀어두게 되었는지 등등..
교양 신간도서 덕분에, 각 이론의 배경들을
함께 이해해 볼 수 있게 됩니다.







오전에 둘째아이가 회원가입을 하면서
'젠더'가 뭐야? 하고 물어보는데...
성정체성이 어쩌고...하고 설을 풀었으나
너무나 확신이 없었던 저는 당황을 했다죠.
책을 일찌기 읽지 않았던 것, 반성합니다.
'젠더' 설명이 여기 나오네요.
사회적으로 규정된 성의 차이






가장 도움이 큰 분야는 자연과학 쪽이다 싶어요.
양자역학, 유체역학... 용어는 슬쩍 봤고
관련 책도 읽어보겠다고 사두어도
부담만 가지고 꽂아두었건만.

힉스라던가, 양자역학이라던가...
짧지만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둔 고마운 책!








각각의 챕터에서 이론이나 현상 등등의
시간적 상황적 배경설명이 함께 해서
독자들이 부담없이 챕터들을 소화하게 되겠는데
게다가 그림으로 정리가 우등생의 노트필기를 보듯
친절하고 깔끔해서, 잛고 우아한 지식을 쏙쏙!
지적 자존감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