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스투 때문에 오늘 많은 글들을 보았다.
나도 내가 페이퍼에 올린 글 중에서 알라딘 상품넣기를 통해서 넣은 책들이 해당 책 소개페이지에 안나타나는 경우를 보았다. 30% 정도의 게시물들이 그런 현상이 있는 것 같다.
나는 얼마전 땡스투를 악용하는 문제에 대해서 알라딘에 의견을 드린적이 있다. 물론 알라딘에서도 공감하는 문제이며 다른 분들의 의견도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개선이 된 것인지 아님 원래 프로그램 같은게 개선이 되었는데 내가 늦게 발견한 것인지는 알수가 없다.
다만 알라딘 직원이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모니터(나는 겸열이라는 표현보다 모니터 정도라고 표현하고 싶다.) 를 할 수 없으니 분명 비정상적인 땡스투를 받기위한 페이퍼가 아님에도 억울한 분들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을 했다.
나도 나 페이퍼에 올린 글들이 해당 도서에 안나타나니까 그런가 보다.. 하는 수준에서 말았다.. 아마도 내가 알라딘 서재에 그다지 열성적이지 않아서 그럴수도 있고 그런 부분에 무각각해서 그럴수도 있다. 그런데 다른 분들은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분들도 많아 보였다.
내가 보기에는 모든 책소개에 해당 페이퍼에 상품이 들어간 게시물을 등록하는 것도 올바른 것은 아니라고 보며 반대로 모든 것을 막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렇다면 일부 회원들이 감수하면 되지 않을까..
나는 그냥 그렇게 생각한다.
얼마전 땡스투를 누른 사람이 누구인가가 공개되어 많은 항의성 글들이 쏟아졌다. 나는 땡스투를 누른 사람의 아이디나 별명 정도만 공개가 되는데 뭐가 문제이겟는가.. 그리고 어려 페이퍼에서 땡스 투 공개 해 달라는 글들을 많이 접했다.
그런데 막상 그 서비스를 게시하자 말자 알라단은 공경에 빠졌다. 별명 혹은 아이디 공개 정도가 개인정보 공개의 높은 수준에 해당하는가 아닌가에서 나는 후자인데 반대의 글을 올린분들은 전자의 경우였던 것 같다.
당시에 설문투표에서도 별 상관없다는 쪽이 높게 나온 것으로 기억한다. 그런데 그 유령 회원분들이 게시물을 통해서 그러한 의견을 피력하지 않음으로서 절대불가가 높게 나온 것으로 생각한다.
땡스투도 마찬가지다. 나는 좋은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일부 페이퍼에 게시물들이 보이지 않는 정도는 나에게는 용납이 되는 수준이다. 그런데 그게 아닌 분들이 또 있다. 그런것들을 내 입장에서는 나쁘다 좋다고 할수는 없다. 전체적인 회원분들이 용납할만한 수준인지 불쾌할 수준인지를 여론을 알아보는 방법밖에는...
받아드리는 사람들의 입장이나 성격차에서 그건 달라진다. 땡스투를 악용하는 사람들은 분명 있다. 글 하나 없고 인기있는 책과 화장품들만 30~40개씩 페이퍼에 넣는 분들이 있다. 그런 게시물들은 공해적 페이퍼 라고 표현하고 싶다.
그런 것들만 정확하게 추려낼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겟는가.. 그런데 어떤 인터넷 서점이라고 해도 그렇게 할수는 없을 것이다..
제가 보기에는 리뷰이던 상품넣기에 포함된 페이퍼든 비정상적이거나 문제가 있는 글일 경우에 100% 다 알라딘에서 확인해서 선별등록하면 좋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봅니다.
알라딘 회원분들은 어떻개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