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은 유물에 있다 - 고고학자, 시공을 넘어 인연을 발굴하는 사람들 아우름 27
강인욱 지음 / 샘터사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고학,
나에게 고고학이란 단어는 인디아나 존스부터 시작된
모험과 환상의 세계다.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쥐라기 공원 시리즈,
미라 시리즈, 다비치 코드, 그 외 다양한 영화들 속 고고학자들은 정말 대단한 영웅들이다.

세계에 숨겨진 비밀들을 찾아내고, 보물을 나쁘게 사용하려는 사람들로부터 지켜내고, 결국에는 세상에 평화를 찾는 것.
그렇게 고고학자는 내 마음속에 세계의 비밀을 수호하는 멋진 영웅으로 자리 잡았었다.

한때는 동경했던 고고학자의 이야기라니,
설렘 가득 안고 책을 펼쳐 들었다.
저자는 초등학교 때부터 고고학의 매력에 빠졌다고 한다.
책은 저자가 지난 1년간 샘터에 연재했던 글과 블로그에 남겼던 글을 정리해서 담았다.

"진실은 유물에 있다"라는 제목 속에 고고학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고고학자가 발굴하는 유물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인연의 끈이라는 말...
유물 한 조각에 담긴 영혼을 불러오는 샤먼의 이미지가 떠오른다.
알라딘의 램프를 문지르면 나타나는 요정 지니 같기도 하다.

유물이 간직한 기억 한 조각.
그 조각들을 모와 과거의 사람들을 현재에 불러내는 작업.
저마다의 삶과 생활이 다르기에, 개개인의 개성을 불러오진 못 하지만.
지나온 시간을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지난 시간이 담고 있는 숨결 하나.
장인의 손길로 깁고 이어 살려낸 찬란했던 시대의 모습.

비록 영화나 만화의 모습처럼.
화려한 모험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신비롭고 환상적이다.

고고학자의 실상은 맨땅에 몇 날 며칠이나 버텨가며
손으로 쓸고 닦아 하나하나 건져내는 단순 반복 잡업이 많은 시간을 쓴다지만.
그 노력으로 만들어낸 결과물은 절로 감탄이 나온다.

책을 읽으며 바로잡은 사실 하나.
'고려장'에 대한 오해. 분면 초등학교 때 배우길
고려장이란 풍습은 고려 시대에 있던 부모를 산길에 버리고 오는 풍습이라고 배웠었는데.
그 어디에도 기록과 유물이 없는 조작? 된 이야기라는 것!!
세상에 '고려장'이 일제의 잔재라고 한다.

우리 역사 속에서 산사람을 버리는 그런 경우는 없었다는 것.
'고려장'이란 말이 더는 쓰이지 않았으면 좋겠다.
저자는 고대 이래 전해오는 '빈장'이라는 풍습에서 잘못 왔을 거라 추측한다.
고대 삼국시대나 일본에선 귀족이 죽으면 1~3 년간 죽은 사람을 산사람처럼 모신 후에 무덤에 넣는 것을 말한다고 한다. 죽은 사람을 마치 산사람처럼 모시다 보니 산사람을 버리고 왔다는 오해가 있을 수는 있겠단 생각이 들었다.

오해하지 말고 이해하자!
'고려장'은 없었다는 것. 아니 우리가 알던 '고려장'이 없다는 것!
'빈장'이란 풍습이 있었다는 것. 우리뿐만 일본에서도 있었다는 것!!

이글 하나만으로도 고고학의 매력에 푹 빠질 수밖에.
우리가 역사에서 배우는 많은 것들이 고고학자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을 느껴본다.

국립 중앙 박물관에 가면 고조선부터 조선시대까지 전시된 유물들을 볼 수 있다.
지금 우리의 눈으로 보기엔 너무 단순해 보여서 휙~ 하고 지나가는 유물 한 점 한 점에 서린
학자들의 노력을 생각해 보면 반성하게 된다.

그 한 점의 유물이 걸어오던 말을 외면했던 지난 시간들을...
우리 국토에는 곳곳에 유물이 있다.
아니 사람이 살아온 모든 곳이 시간이 흘러 유물이 된다.

그 작은 물건들이 간직한 이야기가 우리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어루만져 주고, 가만히 이야기를 들어 주면,
유물들이 찬란한 보물이 되어 우리에게 다가올까?

*본 글은 샘터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샘터 물방울 리뷰단 11기 활동)


진실은 유물에 있다 - 강인욱.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