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간의 탄생 - 순간에서 영원으로 이어지는 시간과 문명의 역사
알렉산더 데만트 지음, 이덕임 옮김 / 북라이프 / 2018년 1월
평점 :
2017년 12월 31일 23시 59분 50초
곳곳에 모여 한 목소리로 카운트 다운을 한다.
10, 9, 8, 7, 6,
5, 4, 3, 2, 1, 0
시간에 맞춰 종로의 보신각에 있는 종소리가 전국으로 울려 퍼진다.
33번의 타종
2018년이
시작되었다.
우린 언제 부터 한 해를
1월 1일에 시작되는 것으로 했을까?
한 해의 마지막은 왜 12월 31일 일까?
달력은 12월 까지 있는데
왜 영어에선 숫자로 달을 세지 않을까?
문화권 마다 다르지만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시간의 계념, 달력의 체계는 기독교에서 왔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2018년 이란
기원으로 삼은 그 날 부터 2018년이란 시간이 흘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기원은 예수의 탄생으로
삼았다.
2018년의 시작
나에게 다가온 첫 책은
알렉산더 데만트의 책 <시간의 탄생>이다.
한 해의 끝과 시작에 찾아온 '시간'이란 녀석.
무지막지한 분량에 1달이란
기간동안 읽어 나갔다.
책을 읽어가며 시간에 대한 많은 것들이 궁굼했고, 많은 궁굼증들이 해소 되기도 했다.
평소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시간과 날짜의 개념.
한 해, 한 달, 한 주, 하루가 정착 되기까지 수 많은 시간이 흘렀고, 많은 투쟁이
있었다.
그리고
현재까지의 승리의 왕좌는 기독교가 차지하고 있다.
예수의 기원으로 부터 2018년째의 해를 맞이 했고,
지금은 벌써 두 번째 달로
넘어 갔다.
우리가 편하게 사용하는 한
주의 개념이 세계적으로 사용된 것은 고작 20년 남짓 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베이비붐 세대 쯤에서 부터 사용 되지 않았을까 짐작 해본다.
어릴적을 돌아보면 할머니
할아버지께선 달력보다는 일력을 더 친숙하게 사용 하셨던 모습이 떠오른다.
매일 아침 눈을 뜰면 한
장씩 뜯어내던 일력,
그 종이에 낙서하고 놀았던 기억이 난다.
부모님 세대쯤 부터 달력이
일상생활에 들어 왔을 것 같다.
한 참 성장하는 산업화의 시대.
공장에서 일을 하면 필수품이
되었을 달력.
월급으로 한 달 생활을 계획 하려면 달력은 필수가 되었을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돈이 오고 가는 모든 곳에선
달력으로 급여와 이자를 계산한다.
자본이동이 지금 처럼 쉽지 않았을 고대 시대에는 어땠을까?
아니 시간 계념이 지금 같지
않았을 시대에는 어떻게 살았을까?
고대 로마는 하루를 12시간으로 나누었다고 한다.
일출 부터 일몰까지시간을
12로 나누었기에 한 시간의 길이는 매번 달랐을 것이다.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해시계를 사용했겠지만
대다수 일반적인 시민은 크게
의미가 없었을 지도 모르겠다.
서양사에선 로마와 그리스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시간의 탄생에서 다루고 있는
시간에 대한 이해와 역사는
우리 입장에선 반쪽짜리 처럼 느껴진다.
우리에게 시간이란
오로지 황제에게만 허락된
권력이었다.
조선
세종때 장영실의 이야기만 봐도 그 권력의 대단함을 짐작 할 수 있다.
우리의 달력을 사용하기 위해서 했던 노력
그 끝에 탄생한 우리만의
시계와 천문도.
동양과 서양사에서
시간이 점차 정교해 진 것은
그 만큼 사회가 정교한 시간을 필요하도록 변했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
이 책을 제대로 읽기
위해선
서양사에 대한
기초지식이 풍부해한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 대한 개괄적인 역사부터 다양한 신들의 세상에서 기독가가 탄생하고 퍼져나가는
종교적인 역사, 올림픽의 시작과 의미의 역사.
신에서 부터 시작된 권력이 시민의 힘으로 넘어오기까지의 정치와 사상사 까지.
<시간의 탄생>
덕분에 참 많은 공부를 했다.
그리고 여전히 기초 교양지식의 부족함을 느낀다.
알렉산더 데만트가 동양세계의
시간의 역사까지 담아
근대가 시작되기 까지의 시간 개념의 변화를 비교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