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된 불평등 - 첨단 기술은 어떻게 가난한 사람들을 분석하고, 감시하고, 처벌하는가
버지니아 유뱅크스 지음, 김영선 옮김, 홍기빈 / 북트리거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첨단 기술은 어떻게 가난한 사람들을 분석하고, 감시하고, 처벌하는가

12월이면 참 많은 감정이 교차합니다.
연말, 크리스마스, 한 해의 마지막, 송년, 밤, 눈, 사랑 ...

많은 단어들이 떠올랐다 사라지길 반복하죠.
계절의 마법일까요? 요정들의 심술일까요?
12월이면 따뜻한 기부의 소식들도 많이 들려옵니다.

장학금을 모아서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따뜻한 겨울을 보냈으면 좋겠다는 마음에 이불을 기부한 학생부터, 폐지를 주워 모은 돈을 선 듯 내주시는 분, 평생 모은 재산을 기부해주시는 분, 기념일이라서, 뜻있는 일에 쓰길 바라는 마음,

다양한 이유와 다양한 방법으로 12월이면 '사랑'을 전달합니다.

이렇게 날은 춥지만 마음은 따뜻해지는 계절
놀라운 책 한 권을 읽었습니다.

 

 

 

 

"자동화된 불평등"
제목부터 심상치 않죠.
사회복지를 전공하면서 불평등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사회복지 역사를 보면 항상 '구빈원'에서부터 시작을 하죠.
현대적 의미의 복지는 영국과 미국의 구빈법, 구빈원에서부터 출발했다 할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빈곤 퇴치를 위한 인류가 만든 새로운 발명품으로 생각했던 것이
실상은 통제와 관리의 수단이었다는 것에 충격을 받았어요.

1631년 17세기, 2018년 21세기
둘 사이의 시간은 한 사람의 생과 비교하자면 엄청난 시간입니다.
우리는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속담이 있는데 무려 4세기면 엄청난 변화
그야말로 비교도 불가능할 정도의 혁신이 사회를 바꿔 놨을 것 같은 시간이죠.

그동안 알마나 바뀌었을까요?
저자는 그때나 지금이나 똑같다고 말합니다.
아니 오히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감시와 처벌 통제가 더욱 정교해졌다고 말하죠.
빈곤의 문제만큼은 후퇴한 듯합니다.

 저자가 시스템과 첨단 기술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도 경험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의 의료보험 제도는 우리나라의 보험 제도와 비교하면 많은 부분에서 불편하고 까다롭습니다. 또한 병원은 민영화되어 있어 수익이 우선이죠.
다들 미국의 병원비는 엄청나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처럼 말이죠.

미국과 비교한다면 말 많고 탈많은 국민보험 제도가 얼마나 좋은 제도인지 그 차이를 알게 됩니다. 질병으로 인해서 한 가정이 파탄 나고, 여러 사람의 인생이 벗어날 수 없는 빈곤으로 곤두박질칠 수 있다는 위험, 아니 위협이자 현실인 국가이기에 첨단 기술과 시스템의 악영향을 깊이 파헤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자동적격심사 시스템, 노숙인 통합등록 시스템, 알고리즘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를 4차 산업 혁명 시대라고 합니다.
기술의 혁신이 삶을 바꿔 놓고 있다고 하죠.
모든 것이 연결되는 초연결사회를 만들어가고 있기도 하죠.
기술의 혁신으로 사회 모습이 바뀌어 가면서 '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회사는 어떻게든 정보를 모으려고 하고, 소비자들은 내 정보가 수집되는 것을 감수하면서 새로운 제품의 편의성을 소비하죠.

이렇게 바뀌어 가는 세상에서 무서운 생각이 들었습니다.
"첨단 기술은 어떻게 가난한 사람들을 분석하고, 감시하고, 처벌하는가"

여기서 '가난한'이란 단어를 빼면
"첨단 기술은 어떻게 사람들을 분석하고, 감시하고, 처벌하는가"
라는 문장으로 바뀝니다. 단어 하나 빠졌을 뿐인데 다가오는 느낌이 무척 섬뜩합니다
첨단 기술은 분명 개인들이 그 혜택을 누리는 것 같은 착각을 줍니다.
자본주의의 세상에서 첨단 기술의 혜택은 '자본'이 누리고 있죠.
그리고 우리는 우리조차 알지 못하는 순간에 '인권'과 교환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우리는 분명 '좋은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회복지라는 것도 모든 인간이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바람을 담고 있죠. 그런데 '좋은 의도'라는 것의 의미가 무엇일까요?
여기에 이익과 편리라는 것이 들어가는 순간, 사람을 무언가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취급하는 그 순간 우리가 생각하는 '좋은 의도'라는 것이 어떤 통제력과 폭력성을 가지게 되는지 책을 읽고 나면 알게 됩니다.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분명 우리입니다.
기술로 인해 사람과 사람 사이에 거리가 멀어지는 것 같습니다.
대면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기술이 대신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분명 컴퓨터처럼 딱 떨어지지 않습니다.
한 번 정해지면 바뀌지 못하는 물건이 아니죠. 우린 지금 이 순간에도
서로 영향을 주며 변하고 있습니다. 영향을 주고받는 것에는 주변에 있는 모든 것들이 포함되죠.

그래요. 생각해 보면 그동안 우리가 얼마나 변했는지 실감하게 됩니다.
첨단 기술이라는 핑계로 우리가 얼마나 많은 부분에서 '인간다움'을 포기했는지
그 변화의 방향을 주도했든, 휩쓸렸든 결국 우리들의 선택에 의한 결과라는 것은 변함없다는 사실.

저자는 기술이라는 달콤함에 취해 그동안 잃어버렸던 많은 것들을 생각해보고,
기술을 이용해서 올바른 선택이 무엇인지 고민해 보자고 책을 통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