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왕조실록 1 : 태조 - 혁명의 대업을 이루다 ㅣ 조선왕조실록 1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조선왕조실록은 유네스코 지정 기록문화유산입니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곳에
불과 100여 년 전까지 실존한 왕조이자 국가입니다.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를 조선의 마지막으로 봐야 할까요.
아니면 임시정부 수립
이전까지를 조선이라 해야 할까요.
어쩌면 조선이란 국가에서 태어난 사람이 아직 생존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몇 명 안되지만 끔찍한
일제시대를 겪어온 분들도 아직 살아계시지요.
유네스코에 지정된 조선왕조실록은 태조부터 철종까지 25 대 472년간의 시간과 역사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고종과 순종은 일제시대 사초조차 왜곡되어 있기에 실록에는 빠졌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조선왕조실록 원본'을 번역하여 전자기록물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공개된 실록은 보면 태조실록
1년 7월부터 기록되어 있습니다.
태조실록 1권, 태조 1년 7월 17일 병신 1번째 기사 (1392년 명 홍무(洪武)
25년)
"태조가
수창궁에서 왕위에 올랐다"
위대한 기록의 첫 문장입니다.
서기와 함께 당시 세계의
중심이었던 중국의 연호가 표기되어 있어 세계사와 비교하기 수월합니다.
제가 읽은 책 "이덕일의 조선왕조실록"은 편년체로 쓰인 조선왕조실록에서 역사를 바꾼 커다란
사건들을 뽑아 해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1권 태조 혁명의 대업을 이루다 편에서는 태조 이성계의 내력부터 다루고 있습니다. 태조 이성계가
왕이 되고 조선이라 국명을 바꾸고 1차 2차 왕자의 난을 지나 태종 이방원이 왕이 되어 태조의 마지막 날 울부짖음으로 끝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