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할 때는 쇼펜하우어의 이야기를 읽으면 된다. 왠지 그의 불안함이 코믹하기도 하고, 이 천재의 오만함이 내겐 꽤나 유쾌하게 느껴지기 때문. [나는 누구인가]는 여러가지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서 진중함이 없을 법도 한데, 스르륵 읽기에는 작가가 던지는 질문이 날카로워서 걸린다. 

 가끔 생각날 때 한 챕터씩 읽는 중. 쇼펜하우어의 '내 마음에 있는 것이라면, 원할 수도 있지 않나요?' 부분은 날씨도 날씨이고 해서 한 번 더 읽어주었다.  


 다들 북하우스의 번역이 좋다는 이야기를 하셔서, 동서문화사본에는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문장이 굉장히 껄끄럽다. 하루 종일 한권을 다 읽어버리기는 했지만, 대충 읽었다. 걸리적거리는 문장은 허들넘듯 넘기는 버릇때문에; 

 필립말로우는 마초고, 나오는 여인들은 모두 매력적이고 아름다우며 필립말로우를 좋아한다. ㅎㅎ 나도 좋아할 것 같다. 결말은 낭만적이었고, 북하우스본으로 다시 한 번 읽어볼 예정이다. 

다 읽은지는 며칠 되었는데, 리뷰를 써볼까 끼적대봤다. 그러나 실패. 하고싶은 말이 많고, 생각도 많아져서. 사건을 바라보는 시각은 당사자들과의 관계에 지배당한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신문에서 보았다면, 아 그랬구나- 하고 무덤덤하게 넘겼을 일가족 살인사건은 작가의 목소리로 재탄생했고, 안면일식도 없는 사람들에게 동정심과 공감, 애정을 갖게 되었다. 읽는 내내 계속해서 변덕스럽게 툭툭 튀어나오는 생각을 종잡을 수 없어 아직은 뭐라 말하기 어려운 책이다.  

 
 달리의 자서전. 이 사람도 정말 웃긴다. 그런데 문장이 쉬이 읽히지 않아서 도입부만 읽다가 덮었다. 어느새 나는 쉬운 문장만 찾게 되어버렸나보다. 최근에 있었던 몇가지 일들로 잡생각이 많아져서 어려운 단어가 등장하고 문장이 3줄만 넘어가게 되면 생각이 샛길로 빠진다. 

 아직 도입부만 읽고 말았지만, 나도 나 자신에 대한 확신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했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10-24 05: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0-24 08: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0-24 22: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전 우울할 때는 에코의 '세상의 바보들에게 웃으면서 화내는 방법' 을 읽곤 했어요. 예전에 영화 '컨스피러시' 에서 연쇄 살인범들은 늘 '호밀밭의 파수꾼' 을 구입해서 품에 지니고 다녔다고 하는데, 전 '세상의 바보들...' 을 그렇게 좋아했어요; 세 권 정도 샀던 것 같네요. 움베르토 에코 특유의 유머 감각이 마음에 들었거든요. 친구 덕에 푹 빠져서...
그런데 요즘엔 그마저도 잘 읽히지 않고 자꾸 음악만 듣고 있어요. 그렇다고 우울함이 풀리는 것도 아니고.
그저 뭐든 가득 안고 괴로워하는 것 같은 기분이 드네요. 마치 과식하고 토해내지 못한 것처럼, 스트레스도, 우울함도, 걱정도, 몸 안에 가득해서 터져버릴 것 같은데, 도무지 푸는 방법을 모르겠다능.
쇼펜하우어 책도 읽어봐야 되는데, 아아 통역사... 너무 안 읽혀요. 아 사실은 통역사가 문제라기보다는 뒤늦게 백귀야행이라는 만화책을 봤더니 간이 잘 밴듯한 오싹함에 중독되어서 그럴지도-_-;;

Forgettable. 2009-10-25 10:35   좋아요 0 | URL
다정한 코님^^ 댓글 고마워요.

우울할 때 에코의 책이라, 취향 독특하세요! ㅎㅎ 저도 그거 다 읽었어요~~ 그 책 읽을 때의 충격과 감탄이란 ㅎㅎ 새로운 세상을 보는것만 같았어요. 그런데 요즘은 책을 읽으면서 그런 자극을 느낀적이.. 별로 없네요. 영화도 마찬가지고- 권태기인가봐여;
코님의 댓글을 읽으니 제 상태도 매우 비슷한 것 같아요. 정말 뭔가 해소할 방법이 없을까요?ㅠㅠ

백귀야행.... 정말 좋아하는데, 이제서야 보시는군요. ^^ 통역사는 그럼 내려놓으시고, 백귀야행에 올인하세요~! 나도 갑자기 다시 보고싶어진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