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데이아, 또는 악녀를 위한 변명 환상문학전집 23
크리스타 볼프 지음, 김재영 옮김 / 황금가지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뭐 쿨한 척, 괜찮은 척 하는 것에 대해 약간의 알러지를 가지고 있다. 

슬프면 울고, 기쁘면 웃고, 걱정이 되면 걱정을 하고, 짜증이 나면 짜증을 내고, 힘들면 괴로워하는 모습 쯤 남들에게 보여줘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남의 눈치 보지 않고 제멋대로인 신들이 우스우면서도 그리스신화가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던 것이고 이런 제멋대로 이기주의 신들을 숭배했던 그리스 문화에 대한 환상을 갖고 있기도 했다.   

'메데이아'라는 이름 역시 그렇다.  
그 이름 하나만으로도 어떻게 해석해두었을까 궁금했다. 

하xx님의 서재에서 이 책을 발견하고는 너무 궁금해져서 사놓고는 첫페이지를 읽고 너무 어려워서 밀쳐뒀다가 읽기 시작했는데, 재미있다. 전체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1인칭 시점으로 제각각의 이야기를 하고, 메데이아, 이아손, 글라우케 공주 등등 메데이아 주변 인물들의 시점에서 메데이아의 이야기를 전반적으로 들려준다.  

각자의 입장에 따라 이야기를 해줌에도 불구하고, 그 목소리가 사건의 진행에 따라 점차적으로 격앙되는 느낌이라서 중반 이후로는 읽기가 조금 힘이 든다. 희생양을 필요로 하는 군중심리와 그에 반응하지 않고 신념에 따라 행동하는 메데이아의 모습이 겹쳐지면서 마음이 불편해진다. 조금만 굽혔으면 그리 힘들게 살지 않아도 되었을텐데 라며 안타까워하는 이리저리 부유하듯 살아가는 내 모습과 너무 달라서 불편했다. 

처음의 '-척' 이야기로 돌아가 보면,
누구나 여린 마음을 갖고 있다는 생각을 바탕에 깔고있는 나는 메데이아의 강인한 모습이 강한 척 하는 여인의 전형적인 모습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작가의 손 끝에서 새로 태어난 메데이아의 캐릭터가 고전의 그것에 비해 덜 매력적인 것 같았다.
(이것은 순전히 책소개를 읽고 무의식중에 얻은 고정관념의 산물, 스포는 없을 수록 좋다.)   
그런데 책을 읽어갈 수록 그냥 원래부터 강한 사람도 있을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메데이아가 동생과 연적과 아들들을 죽였든 그것이 사실이 아니든 나는 상관 없다고 본다.
작가는 그 신화를 미화(?)하기 위해 상당한 공을 들여서 그 스토리라인이 약간 억지스럽게 보일 정도였지만,
굳이 그러지 않았더라도 재창조된 '메데이아'라는 캐릭터는
원전의 스토리도 그녀에게 무언가 사정이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하게 만들 정도로 강렬하다. 
오히려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이야기를 끌어갔다면 더 극적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사람이 있고 이야기가 있다. 
사람의 이야기에 이유를 붙이는 것은 후대 사람들의 몫이 아니기도 하고 맞기도 하다. 
그녀의 불가사의한 행동에 온갖 이유를 붙여서 신화로 만들어내 그의 목적에 합당하게 사용한 사람과, 
그녀를 오롯이 살려내어 왜 그랬었는지 후대사람에게 상상하게끔 기회를 불어 넣어준 사람 중 누구에게 고마워 할 지는 개인의 선택.

그녀는 시대의 희생양이 아니었다. 자기 자신을 희생양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에게 희생양이라는 별칭은 택도 없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07-07 10: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7-07 11: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7-07 17: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머큐리 2009-07-12 1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구해놓고 제목만 쳐다보고 있는 책 중 하나에요....ㅠㅠ

Forgettable. 2009-07-12 16:57   좋아요 0 | URL
저도 한참만에야 읽었어요. ㅎㅎ 괜찮았어요.
성녀의 유골- 은 읽으셨는지? 이번 주말에는 왠지 지루해보이는 책만 눈에 보여서 이것저것 들었다놨다 하다가 아무것도 안읽었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