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레옹광 아토다 다카시 총서 2
아토다 다카시 지음, 유은경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어느 단편을 어느 시기에 읽던간에 하나의 단편이 끝날 때마다 헉소리가 난다.
등골이 서늘해질 뿐만 아니라 무서워서 몸에 힘이 쫙 빠지는 기분은 세상에서 태어나 처음으로 느껴보는(내가 기억하는 한) 쾌감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편 두개를 읽고는, 안되겠어서 책장 속에 넣어 두고 하루를 묵히기도 했다.

어느 문장 하나도 헛되이 쓰인 것이 없었다.
결말을 읽으며 정신이 희미해질 때 처음부터 끝까지의 문장들이 샤라락 지나가는데, 단어 하나마저도 그 결말을 위해 대기하고 있었던 양 모든 문장들이 스토리 라인의 구석구석에 배치되어 딱딱 들어 맞는다. 

도대체 What kind of 작가가 글을 쓸 때 이만큼이나 독자의 마음을 무너뜨릴 각오를 하고 쓸런지?!!
글을 써본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알겠지만, 자기가 쓴 글만큼 편견을 갖고, 애정 혹은 비하를 하게 마련이다.
(나같은 일반인에게만 해당되는 말이려나..)
결코 객관적일 수가 없어서 이렇게 혼미할 정도의 치밀한 결론이 정말 놀라울 따름이었다.  

반전이 놀랍다기 보다는(엄청나게 놀라운 것도 있긴 했지만) 무심코 지나쳤던 문장들이 한순간에 머릿 속을 스쳐지나갈 때의 기분이란 정말 오랫동안 잊고지냈던 지적쾌감이 아닌가 싶다. 아마 어려운 수학 문제를 혼자 힘으로 풀었을 때 느껴봤었는지.. 

좋았던 것은 '나폴레옹광', '뻔뻔한 방문자', '그것의 이면', '사랑은 생각밖의 것', '뒤틀린 밤',,,,
이런.. 모두 좋았다. 어느 하나 뺄 것이 없다. 

그 중에서도 굳이, 정말 굳이 하나 뽑아보자면 '그것의 이면'이 참 좋았다.
항상 내가 꿈꾸던 이야기이자 현실이었다고나 할까. 아무래도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는 내가 이루어지길 바라는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 

아직 '골프의 기원'을 읽지 못했는데, 
요즘 일에 찌들어 문화생활을 거의 즐기지 못했다며 푸념하는 친구에게 술 취한 김에 책을 꺼내어 쿨하게 줘버렸다. (!!!)
그 당시의 생각은 '다시 읽지 말고 그 환상성을 나만의 것으로 간직하자, 조금 미화시키거나 변형시켜도 좋아.' 였는데
후회가 될 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