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이스라엘의 소식을 들었다. 나쁜 소식이라 걱정이 앞선다. 

 처음에는 방콕에서 치앙마이로 가는 심야버스에서의 10시간 내내 술을 처 마셔대고 남들 다 자는데도 불구하고, 심지어 대놓고 짜증을 내는 사람이 있어도 아랑곳 않고 시끌시끌 소리 지르고 떠들어대는 이스라엘의 젊은이들을 좋아할래야 좋아할 수가 없었다. 

 어린 나이에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군대로 착출되어 진짜 전쟁의 공포 속에 있다가 방금 풀려난 터라 저럴 수밖에 없다는 주위 사람의 말에도 난 이스라엘이 싫었다. 술 취한 망나니들이 보태지 않아도 이스라엘은 가해자라는 편견이 워낙 강했기 때문이다. 

 그 편견이 깨졌던 건 인크레더블 인디아에서 만났던 친구들 때문이었다. 

 이들은 그 젊은이들보다 더 나이가 있어서였는지, 내가 운이 좋아서 사람복이 있어서였는진 잘 모르겠지만 영어도 잘하고 쏭앤칭~ 이라고 하며 나와 내친구를 무척이나 좋아했고, 우리와 매우 잘 맞았다. 

 


 

 그들이 히브리어로 노래를 부를 때면 특히나 열광했지만, 무엇보다 그들이 하는 얘기는 내가 갖고 있던 고정관념을 단번에 깼다. 

 Shai는 자기는 물론이고, 자기 주위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국에 대해 애틋한 마음을 갖고 있다고 했다. 한국도 자기네처럼 전쟁이라는 급박한 상황에 있다고 생각해서(아마 한국인이 전 세계인중에서 가장 전쟁불감증일 것이라 정정해주긴 했다만) 뭐 엄청 안쓰럽게 생각한다고 하더만. 

 그러면서 자기네가 겪었던 전쟁터의 극한의 공포와 사라져가는 사해(없어지기 전에 꼭 보러 오라고), 팔레스타인에 대한 자기네들의 감정의 연대기를 old monk를 마시면서 조근조근 다 이야기해주었다. 나는 역시나 취했고ㅡ 다음날 되니 내가 이스라엘을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로 보기 시작했다는 사실만 기억이 난다. ㅎㅎ  

 안타깝다. 그 때 술만 마시지 않았어도 다 기억해서 이스라엘을 욕하는 사람들한테 그들의 입장을 설명해줄 수 있는건데. 내가 뉴스나 신문을 주의 깊게 보지 않기에 논쟁이 시작되면 난 또 금방 기죽겠지만- 팔레스타인이 무조건 죄없는 양민들이라고 편들고 이스라엘을 욕하는 사람들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심지어 일제시대 운운하는 사람들은 정말 없어보인다.

 그들도 같은 시대의 희생양인데말이다. 

 [나의 미카엘]에서도 미카엘은 부인과 아들을 두고 전쟁터로 떠난다. 전쟁의 한 가운데에서 히스테리적인 주인공의 우울병이 나를 덮쳐서 끝까지 읽어내진 못했지만, 이스라엘 사람들 역시 고통받고 전쟁을 혐오하는 것을 왜 모를까. 

 함께 침대에서 뒹굴거리며 노래를 다같이 불러대던 Shai와 Odi 말고도 또 다른 도시에서 만난 친구들도 다른 어느 외국인들보다 젠틀하고 친절해서 난 아예 이스라엘리들을 싸잡아서 사랑하게 되었다. ㅎㅎ 

 우리의 친구들에게 평화가 있길-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9-01-13 09:0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