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미여인의 키스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7
마누엘 푸익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0년 6월
평점 :

이 매혹적인 포스터는 '거미여인의 키스' 뮤지컬의 것인데 호주의 소극장에서 인턴으로 있던 시절에 처음으로 접했다. 엽서로 되어 있는 광고(?)였는데 제목이며 그림이 진짜 특이하고 강렬해서 기억하고 있었는데 한국에 들어와 도서관에서 [거미여인의 키스] 책을 발견하곤, 아 이게 그거구나! 하며 얼른 집어 들고 읽기 시작했다.
타라~~ 책 내용도 포스터 못지않게 매혹적이다. 기둥 얘기는 두 죄수의 감옥 안에서의 우정과 사랑이야기, 엄청 우울하고 지루할 것 같은데 읽다 보면 이야기의 포스가 장난 아니다. 왜냐면 기둥 이야기는 단지 기둥일 뿐 잔가지 역할을 하는 이야기들이 정말 대단히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발랑틴이 정치범인 동료죄수에게 해주는 영화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 이야기들 하나 하나가 대중적이고 재미 있는 이야기들인데 흥미롭다. 그 영화들이 실제로 있다면 보고 싶을 정도이나 발랑틴이 이야기를 하는 당시의 자기 기분에 따라 어느 정도 스토리를 변형시키기도 했기에 그냥 내 상상 속에 남겨 놓는 것도 좋을 듯 하여 굳이 찾아보진 않았다.
상상력을 자극하고 알찬 흥미로움으로 가득찬 '이야기(!)'들- 사실 현대 소설에서 '이야기'를 찾기란 쉽지 않은 일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난 [거미여인의 키스]가 참 좋다. 작가가 제공하는 풍부한 이야깃거리는 물론이거니와 내가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끔 도와주는 힘도 실려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혀 산만하지 않은 노련함과 진중함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다소 마음에 약간의 충격이(동성애에 엄청 관대함에도 불구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난 이 책을 감히 '내가 라틴문학을 사랑하게 된 동기' 중의 하나로 집어 넣을 수 있었다. 2010년에는 꼭 이들의 세계로 떠날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