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세트 - 전10권
나관중 지음, 황석영 옮김, 왕훙시 그림 / 창비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삼국지에 열광하는 사람들 앞에서 난 초라해지곤 했다. 내가 아무리 책을 좋아한다고 해도 어렸을 때 만화삼국지로만 삼국지를 읽었었지, 소설로 읽어본 적이 없어서 그들 앞에서 할 말이 없었는데 알라딘에서 삼국지 10권세트를 정말 싸게(거의 반값에..) 팔길래 기회다! 싶어서 구매하게 되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이름이 나오고 그들의 일화가 소개되면 어렸을 때 보았던 만화와 그들의 캐릭터가 언제 잊혀졌냐는 듯이 선명하게 되살아났다. 이렇게 다시 보니 유비의 편을 들어주던 사람 외에는 모두를 다 적으로 생각했던 어린 시절과는 달리 등장하는 각각의 인물 모두가 다 각별하게 생각이 되었다. 심지어 조자룡의 칼에 단 일합에 몸이 두동강이 나는 군사들한테도 정이 갔다.

 그 전까지 [삼국지]는 유비를 주인공으로 삼은 영웅담으로 알고 있었다. 그런데 황석영작가의 [삼국지]를 다시 보니 아름다운 한시들과 그림(그림 덕에 한층 상상하기 쉬웠다,)들이 작품을 한층 더 아름다운 문학으로 만들어낸 것이 아닌가,! 전혀 상상도 못하고 있었는데-

 또한 등장하는 인물 각각에게 쏟은 관심과 사랑이 한껏 느껴져서 더이상 유비는 안중에도 없이 조조와 손권, 공명, 노숙, 주유, 허저, 사마의, 방통, 조자룡 등등등 너무나 매력적인 인물들이 많아서 참으로 즐거웠다.

 너무 계속해서 싸움만 하고, 어떻게 하면 이길 수 있을지 머리아프게 대책을 강구하고, 요리 붙었다 저리 붙었다 자기 이익만을 앞세우는 이야기들의 연속이라서 불편하기도 했지만 간간히 나오는 심리묘사와 충직한 사람들의 진심, 마음 따뜻한 백성들이 그 허한 공간을 채워주었기에 삼국지가 대작이 되지 않았나 싶다.

 Q1. 조조에게 충언을 하다가 죽어간 수많은 충신들에게 : 왜 몇년을 가만히 있다가 갑자기 말을 꺼내서 화를 당하는지? 그렇게 목숨을 바칠 정도로 충직한 성격이면서 어떻게 조조 아래에서 몇년을 신하로 지낼 수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Q2. 유비에게 : 모든 결정이 '한나라'의 역적이냐, 후손이냐에 따라 달라졌으면서 왜 결정적인 순간에는 '한나라'고 뭐고 아우들의 원수를 갚아야만 했는지? 평생을 걸쳐서 그토록 지키려고 했던 대의와 명분도 개인적인 감정이 앞서면 다 부질없는 것인지? 당신의 의연한 모습에 반해서 따르던 수많은 천재들을 어찌 그리 배반하는지? 궁금합니다.

 왠지모를 의무감이 앞서서 읽기 시작해서 아직도 끝내야 한다는 의무감에 사로잡혀 8권을 집어들고 있다. 그치만 이 의무감도 책이 재미 없었으면 소용 없었을텐데, 수많은 등장인물이 어우러져서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이 이야기가 정말 재미있다는 사실이 날 삼국지에 사로잡히게 하는 진짜 이유이다. 깊이도 중요하지만 그만큼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것도 중요하다.

 끝으로- 어디 자기 일기장에나 적을만한 글귀나 대충 모아 놓고 책이랍시고 겉멋 들어서 출판해 놓은 사람들이 꼭 정독해야 할 책, 소설은 작가의 다이어리가 아니라 '이야기'가 기본이니까.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지 2009-01-11 14: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 항상 갈팡질팡하는 나로서는, 저 사람들도 이해가 간다는 ^^;; ( 인간의 불완전함, 나약함, 끝내 실패하고야 마는 사람 같은 거 흥미..) 어떻게 살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살아 남을 것인가, 는 항상 중요하고도 어렵죠. 지금도.

2. 역시 유비의 그것은 '처세'라는 생각이 들어요. 끊임 없이 자제하고 인내하고 겸손하고 노력했지만, 그거 말고는 유비에게 다른 방법은 없었고, 그래서 철저히 연출된 것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 (촉을 정벌할 때, 방통과 술먹고 싸운 일화라든지 보면 말이죠.) 사실 유비 관우는 별로 안 좋아해요. 그래도 다들 인간적이긴 하지요.^^;

ps 난 공명이 제일 좋아요 *_*


Forgettable. 2009-01-10 19: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래도 유비가 삼국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손권정도였다면 그럴수도 있겠다- 하고 지나치겠지만 그 결정때문에 너무 손해가 많으니 답답해서요!! 다른 어떤 소설보다도 이기는 것에 집착하는 삼국지였기 때문에 더 답답하기도 했어요 ㅎㅎ

신지님 댓글을 보니 또 그럴 수도 있겠다 싶은게, (귀가 얇죠) 다시 읽을 땐 또 다른 느낌으로 읽을 것 같아요 ^^

그리고 공명처럼 완벽한 사람이 또 있을까요 ++ ㅋㅋ



신지 2009-01-17 2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연의'의 공명 말고요. 정사나 평전 같은거 보면 좀 다르거든요. 뭐랄까 비장감도 느껴지고.. 좀 안타까워요. 전 특히 '공평무사'가 맘에 든답니다. (완벽주의, 너무 신중함,이 약점으로 꼽히는데, 뭐 전 그것도 싫지 않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