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 동안의 고독 -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작 문학사상 세계문학 6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안정효 옮김, 김욱동 해설 / 문학사상사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삶에 너무 많은 영향을 끼친 책의 리뷰를 쓴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군.

 이 책을 읽고나서 눈물이 날 것 같은데도 마음이 텅 비어버려서 울 수 없었다. 그 때 내 마음 속에 있던 순진한 기쁨이며 낙관은 다 빠져나가버렸던 것이다. 판도라의 상자가 열렸을 때의 기분이랄까, 대신 남은 건 희망대신 우울과 허무였다.  

 그렇지만 난 여행을 갈 때면 항상 이 책(문학과 지성사에서 나온 요 책은 아니지만?! - 여러개를 갖고있어요 ㅋㅋ)을 들고 다닌다. 낯선 곳에서 정 붙일데라곤 낡고 낡은 백년동안의 고독이다. 어느때고 아무페이지나 펼쳐서 읽어도 익숙한 동시에 새롭다. 여행을 하면서 늘 낯선 익숙함을 찾는 내게 딱 맞는 책이다. 

 슬픈 눈물이 가슴을 가득 채웠어도 난 거기에서 편안함과 기쁨을 또 찾을 수 있었다. 책 내용 만큼이나 이상한 일이지.

 아무리 괴롭고 두려운 세상이라도 그 세상을 여실히, 또는 극단적으로 잔인한 시선으로 표현해 낸다면 그것은 이미 예술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예술은 우리의 마음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것이지 잔인하게 마음을 도려낼려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들은 백년동안의 고독을 읽고 나서 내 머리 속에 확고히 자리잡았다. 

 거칠고 괴로운 인간사를 두려울 정도로 아름답게 표현해내면서 나로하여금 그를 숭고하게 생각하도록 만들었다.

 고딕양식의 고성당이 나를 압도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난 이 책을,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를 우러러보고 찬양한다.

 그 마음이 너무 커서 이렇게 어렵게 써놓긴 했다만 이는 내가 그에게 배운 것과는 정반대의 것이다.

 백년동안의 고독은 가독성도 뛰어나고 수백개의 흥미로운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지만 그 깊이가 뛰어나다. 그 깊이를 간직하면서도 쉽게 써야 진정 독자를 위한 글을 쓰는 사람이라는 것을 배웠으나, 아직 갈 길은 멀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