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읽은 논픽션 책과 비교가 되어서인지 어쩐지 통계와 과학적 자료의 부족이 아쉽다. 물론 생각해보면 그런 자료를 쉽게 구할 수야 없겠고.. 작가의 분야가 좀 애매하기도 하다. 뇌과학이라기엔 근거가 좀 부족해 보이고 심리학자라기엔 너무 과학적인 그 중간 어디엔가. 처음엔 너무 당연한 이야기를 놀랍다는 듯이 계속 이야기해서 대체 어디가 놀랍다는 것인가 공감하기가 어려웠다. 이를테면 인간이 모두 느끼는 감정이 제각각이라는 것. 듣고 보면 당연한 거 아닌가?? 하지만 학계에서는 인간이 모두 동일한 감정을 공유한다고 꽤나 오랫동안 주장했고 저자의 주장이 난데없이 등장한 것으로 여긴듯 하다. 여러가지 사례와 작가의 개인적인 경험, 많은 실험을 통해 감정은 다양하다! 를 증명해낸다. 책을 읽으면서 내내 나는 부정적인 감정 통제를 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서 전전긍긍했는데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단, 충분한 수면 같은 신체 요소가 감정 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당연한 사실을 새롭게 받아들이게 됐다. 이제는 괜히 짜증이 나면 그냥 신체예산이 부족한 걸로 생각하고 휴식을 취하거나 깊은 호흡을 하는데 그러면 짜증이 불필요하게 여겨지고 거기에 얽매이지 않게 되었는데 이것은 큰 소득이다. 또한 나는 이런 책을 읽으며 제일 먼저 감정 통제하는 방법을 찾을 정도로 감정을 등한시하는 사람인데 그렇게 표현을 하지 않다보니 감정입자도가 높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 감정에 대해서는 표현을 안할 뿐 잘 인지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것은 나의 착각이었다. 막상 표현하려고 하니 말이 안나왔던 것. 그래서 이제부터는 하루에 한 번 하루 중 느낀 감정을 표현하려고 시도하고 있고 이런 시도에 극 F인 배우자가 매우 기뻐하고 있다. 친구들에게도 오글거리지만 감정에 대해 표현했고 다정한 대화를 할 수 있었던 것도 큰 소득이라 할 수 있겠다. 책 자체나 작가의 서술이 마음에 쏙 들지는 않지만 내 삶의 태도를 아주 많이 바꿔주었기에 다른 사람들에게도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