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 엘즈워스-존스 『뱅크시_ 벽 뒤의 남자』




"사람들은 종종 낙서가 예술이 될 수 있는지 묻습니다.

음, 틀림없이 예술이죠. 그 얼어 죽을 테이트에도 걸려 있잖아요?"


『뱅크시_ 벽 뒤의 남자』


뱅크시의 그래피티에서 느끼는 가장 큰 쾌감은 역시 패러디와 패러독스에 있다. 예전에 M과 '예술을 한다면 뭔가 새로운 것을 창작하는 선구적인 태도가 필요하지 않을까' 라는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창작은 어려운 작업이고 선구적인 경향을 끌어내는 프론티어가 되는 건 순전히 '재능'의 영역이다. 세상엔 노력으로도 안 되는 것이 있다. 


뱅크시는 명화에 변형을 주는 작업을 곧잘 했다. 이 책의 저자도 언급했지만 밀레의 '이삭 줍는 여인들'이 인기가 좋은데 뱅크시의 작업에 국한하면 내 취향은 밀레보단 모네다. 콕 집어 수련 연못에 쇼핑 카트를 처박은 발상이 무척 재미있다. 뱅크시가 붙인 제목도 재미있는데 이를테면 밀레는 '직업소개(Agency job)', 모네는 '쇼 미 더 모네(show me the monet)' 하는 식이다.





(위)『벽 뒤의 남자』 ㅣ (아래)『Wall and Piece』


(아래) 'show me the monet' 왼쪽에 고흐의 '해바라기'가 있다. 제목 'Sunflowers'옆에 'Petrol station'을 덧붙였는데 뱅크시의 작업물은 보면 볼수록 선언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분명히 말하지만 '선동'이 아니라 '선언'이다.


-


Banksy 『Wall and Piece』  





표지와 목차






'쥐'가 뱅크시에게 의미가 있는 건지, 그래피티 작업자들에게 의미가 있는지 가끔 궁금하다.

어쨌든,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몸값이 비싼 쥐가 아닐까 싶은 뱅크스의 쥐(들).

'The human race is the most stupid and unfair kind of race'에서 뱅크시가 인간을 보는 시각을 살짝 엿본 기분이 든다.


이하 책장을 훌훌 넘기다 손이 멈춘 몇 페이지.




Why would someone just paint pictures of revolutionary when you can actually behave like one instead?




I told her 'I'd had an epiphany that night and she told me to stop taking that drug 'cos it's bad for your heart'



뱅크시를 알고 싶다고 생각하게 된 계기는 웹서핑 중 sns에서 뱅크시의 글을 읽고서였다. 뱅크시의 육성이 궁금해서 원서를 주문하고 며칠을 기다려 마침내 읽은 'when i was eighteen'으로 시작하는 '그날밤의 일화'.




재미있는 우연인데 책을 읽기 며칠 전 S와 차로 이동 중에 이 페이지와 동일한 내용, 이른바 'Brandalism'에 관한 얘기를 나눴다. 

그러니까 교차로에서 신호를 받고 잠시 정차했을 때의 일이다. 정면 옥외 광고판이 번쩍이는 걸 보다가 갑자기 불만이 터져나왔다. 나는 저 기업으로부터 아무런 대가도 받지 않는데 왜 도로 한복판에서 일방적으로 저 기업의 광고를 봐야 하는 거냐고!





뱅크시가 주목하는 사회담론을 쫓아가다보면 책의 제목인 'Wall'이 중의적이라는 깨달음이 온다. 

'wall'은 뱅크시가 작업을 하는 담벼락일 수도 있고, 팔레스타인을 위협하는 장벽일 수도 있고, 편견과 불평등을 용인하는 인식의 부조리일 수도 있다. 그래서 내겐 뱅크시의 작업의 시작과 끝이 결국 작가주의처럼 느껴진다. 뱅크시는 저항하는 자일까 자유주의자일까. 둘 다일 수도 있고 둘 다 아닐 수도 있고. 처음엔 궁금했는데 시간이 지나니 아무려면 어떤가 싶다. 분명한 건 뱅크시의 관심이 늘 세상을 향하고 있다는 거다. 

뱅크시의 그래피티는 변방에서 시작했으나 결국 주류에 안착했다. 하지만 여전히 그는 변방에 있다. 변방에서 변방을 얘기하고, 변방에서 주류를 얘기한다. 


“The Bad artists imitate, The Great artists steal

- Picaso


예전에 봤을 땐 별 감흥 없었는데 이제 보니 피카소만이 할 수 있는 말이구나 싶다.



그리고 외전_ 코로나 시대의 뱅크시 (출처.banksy.co.uk)




디테일이 위트가 넘치고 재미있는 작업물이다.

뱅크시가 하면 놀이도 작품이 되는 부러운 재능의 세계.


팬데믹으로 락다운 상황에 놓인 이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상황을 견뎠다. 혹은 즐기거나.

뱅크시는 아마도 '즐긴' 쪽인 것 같다. 뱅크시에 의하면 부인이 질색했다고...

부인의 질색에 공감한다. 나라면 저 욕실에 절대로 안 들어갈거다.





여담_

1. 엊그제 페이퍼에 뱅크시를 언급한 김에 내처 뱅크시 하나 더! 까지는 좋았는데 페이퍼 하나를 썼을 뿐인데 즈질체력이 바닥났다.  

2. 사실 '뱅크시'는 예전에 작성한 글인데 이미지와 내용을 정리해서 새로 쓰려니 바늘이 소가 됐다.

3. 그나저나 T1은 어쩌고 있는지. 슈뢰딩거 고양이 같은 녀석들! 고백하건대 이 페이퍼의 목적은 월즈 진출이 걸린 플레이오프2R를 관전할 용기가 없어 도피성 회피성이다.

4. 이대로 가을인가? 당황하기엔 벌써 9월 중순도 끝무렵이다. 아 세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는 끝나지만 삶은 계속됩니다."

앤디 워홀의 <브릴로 상자>는 단토의 예술 철학에서 일종의 신호탄 역할을 했다. 왜 어떤 인공품은 예술이 되고, 또 어떤 인공품은 예술이 될 수 없는가? 예술에서 철학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통찰의 끝에 단토는 예술의 종말을 선언한다. 이 테제는 단토의 저서들에서 여러 번 논의된 바 있지만 그만큼 자주 왜곡되고 오인되어 왔다. 이 책은 그가 거듭 주장한 탈역사와 예술의 종말 개념을 재확인하고 오해를 바로잡으며, 더 나아가 워홀 말고도 다양한 현대 미술가들의 작품을 그가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소중한 기록이다.


-책 후면 표지 발췌






개인적인 생각으로 단토의 '예술의 종말을 고함'은 니체의 '신은 죽었다'에 비견되지 않을까 싶다. 그러니까 '선언'이라는 의미로는. 물론 단토가 선언한 '종말'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예술과 함께 그 안에 요요히 퇴적되어 온 역사도 봐야 한다. 선언이라 함은, 그것이 지닌 무게란 무릇 그런 것이다.

예술문외한인 일반인으로서 한마디 첨언하자면 단토의 선언은 뱅크시의 퍼포먼스로 1막 1장에 마침표를 찍었다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한다.


참고로 뱅크시의 근황이다.

최근 뱅크시가 영국 런던 왕립 법원에 남긴 벽화는 '피켓을 든 비무장 시위자를 법봉으로 때리는 판사'다. 현지 언론은 최근 영국 정부가 친팔레스타인 단체 '팔레스타인 행동'을 금지 단체로 지정한 것과 관련있을 거라고 해석한다는데... 

지난 6일 런던 도심에서 이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렸고 약 900명이 체포됐는데 이에 시위 주최 측은 '법이 시민의 자유를 억압하는 도구로 쓰이면 저항은 꺾이지 않고 강해진다'고 했다고 하니 사법부의 권위? 신뢰? 정의? 그게 뭐든 사법부의 뭔가가 땅바닥에 떨어져 구르는 건 여기나 저기나 마찬가지인 듯.




출처_ banksy.co.u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선 성서에서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성서에는 소가 여자나 남자를 죽이면 돌로 쳐서 죽여야 한다고 분명히 명시되어 있습니다. 베르나르 성인은 윙윙거리는 소리로 자신의 업무를 방해한 벌 떼를 파문했습니다. 벌들은 또한 816년에 독일 서부의 보름스 태생의 한 남자가 사망한 데 대해 책임을 져야 했습니다. 지방 의회는 그들에게 질식사를 선고했습니다. 1394년 프랑스에서는 돼지 몇 마리가 아이를 죽이고 잡아먹었습니다. 암퇘지는 교수형을 선고받았으나 새끼 여섯 마리는 어린 나이를 감안하여 사형을 면제받았습니다. 1639년 프랑스 디종의 법정은 사람을 죽인 말에게 형벌을 내렸습니다. 살인 뿐 아니라 자연에게 저지른 범죄도 심판받았습니다. 1471년 스위스 북부 바젤에서는 괴상한 빛깔의 알을 낳은 암탉을 상대로 재판이 열렸습니다. 암탉은 악마와 내통했다는 판결을 받고 화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여기서 나는 인간의 끝없는 잔인함과 무지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가장 유명한 재판은 1521년 프랑스에서 열렸습니다. 그것은 사회적으로 많은 파괴와 손실을 야기한 쥐들을 대상으로 한 재판이었습니다. 주민들의 신고로 법원 출두 명령이 내려졌고, 국선 변호사까지 선임되었습니다. 두뇌 회전이 빠른 변호사 바르톨로메오 샤스네는 의뢰인들, 즉 자신이 변호를 맡은 쥐들이 첫 번재 공판에 나오지 않자 재판소까지 오는 길에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면서 재판연기 신청을 했습니다. 그는 심지어 피고들이 법정까지 오는 동안 원고 소속의 고양이들이 어떠한 위해도 가하지 않도록 보장해 줄 것을 법원에 호소했습니다. 불행히도 법원은 그런 보장을 할 수 없었기에 재판은 몇 번이나 더 연기되었습니다. 마침내 피고측 변호사의 열렬한 변호 끝에 쥐들은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1659년 이탈리아에서는 애벌레들에 의해 황폐해진 포도원의 소유주들이 법원에 서면으로 소환장을 제출했습니다. 애벌레가 그 내용을 알 수 있도록 기소 사실을 기재한 종이가 인근 나무들에 부착되었습니다.[….] 


-pp. 265-266,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


먼저 '생태주의' 용어부터 살펴보자. 단어에서 대충 의미를 유추할 수 있지만 이런 기회에 정의를 한번 읽어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므로. 

생태주의 사상은 여러 세부적인 갈래가 있는데 다음은 그중 심층 생태주의.


 심층 생태주의는 환경위기의 원인으로 인간 중심의 자연 지배적 세계관을 지적한다. 이들은 서양 전통의 세계관에 내재된 인간 우월주의와 이원론적 분리주의에 반대하며 두 가지 규범을 내세웠다. 첫 번째는 생명적 관점에서 인간이나 자연적 존재가 평등하다는 생명 중심적 평등(biocentric equality)이고, 두 번째는 나를 나 이외의 타인과 동식물종, 지구로 넓혀서 모두를 하나로 인식하는 경지의 자기 실현(self realization)이다.


올가 토카르추크의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의 화자이자 주인공인 두셰이코는 주변에서 벌어지는 연쇄적인 살인사건의 범인으로 동물(혹은 짐승)을 의심한다. 하지만 아무도 그녀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그녀는 지방 경찰청에 민원을 넣는다. 발췌한 내용은 그녀의 두 번째 민원 내용 중 일부인데 읽으면서 깔깔 웃다가 이 내용이 작가의 상상에서 나온 창작인지 실화인지 궁금해 검색해보니 실화가 맞다.


'진실 혹은 거짓'에 등장할 것 같은 내용을 읽다 보니 드는 생각은 인간은 심심한 걸 못 견뎌하는 종족이라는 것과 동시에 참 유머러스한 종족이라는 것.

내용 중 개인적으로 가장 황당하고 엽기적이었던 건 악마와 내통했다고 누명을 쓰고 화형당한 암탉 얘기. 참고로 M은 쥐 얘기가 인상적이라고 했다. 이것 때문에 오랜만에 전화 낭독을 함.


'화형당한 암탉'에 덧붙여, 인간의 역사를 보면 인간은 '우리와 다른 것'에 유독 경기를 일으키는 기질을 보인다. 부락을 이루고 살면서부터 오랜 기간 서서히 고착된 집단주의의 영향인가 싶은데, '다른 것'을 확률의 다양성으로 받아들이는 대신 집단을 위협하는 징후로 보는 것이다. 한 예로 중세 유럽은 쌍둥이에게 가해진 사회적 폭력의 역사를 갖고 있다.


동식물을 인간과 동일한 생명체로 인정해 공생하려는 생태주의의 마음은 가상하나 동일한 지위와 동일한 역할은 다른 영역인데 이건 어떻게 해결할지 궁금하다.


유시민 작가가 <나의 한국현대사> 개정판을 내고 온라인 북토크를 몇 차례 했는데 그중 페미니스트 작가와 나눈 문답 중에 흥미로운 내용이 있다. 페미니즘에 대한 생각을 묻는 내용인데 유 작가가 휴머니즘이라고 생각한다고 대답하니 '휴머니즘 주의'는 진영 내부에서 논란이 많은 주제 중 하나라는 거다. 이유는 인간중심주의이기 때문이라는데 그에 유 작가가 그렇게 보는 건 협소한 의미이고 자신이 말하는 휴머니즘은 보다 광의적인 의미라고 대답한다. 예로, 진영이 주장하는 다양한 표어에 '여성'대신 다른 무엇을 넣어도 성립하기 때문이라는 것.


이외에도 두셰이코는 점성학에 심취했는데 일어나는 모든 사물의 변화를 별자리 영햑력으로 해석한다. 어차피 사람들이 그런 자신을 이해해주지 않을 것을 알기 때문에 두셰이코는 제자인 디지오라도 설득하려고 열심히 점성술 얘기를 한다. 사실 이런 심리는 두셰이코에게만 해당되는 게 아니라 인간에겐 원래 자기가 관심 있는 주제를 타인과 나누고 싶어하는 본성- 공감욕구가 있다. 하지만 선하고 인내심이 강한 제자도 스승의 끝이 없는 별자리 얘기에 결국 지친다.


“단테의 『신곡』「지옥편」에서 베르길리우스가 말했죠. 점성가들에게 목을 끔찍하게 뒤트는 형벌이 내려졌다고요."

참다 못한 디지오가 나의 장황한 설명을 멈추기 위해 말했다.


-p.176,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


만약 이 장면이 없었다면 나는 토카르추크가 점성술 광신도인가 오해했을 것이다. 실제로 소설 내내 펼쳐지는 기승전점성술에 직전까지 나는 작가를 의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두운 시대

그때도 노래가 불릴까?

그때도 노래는 불릴 것이다.

어두운 시대에 대한 노래가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브레히트의 배경을 알고 나면 어쩔 수 없이 궁금해진다.

브레히트의 시는 어쩌면 그리 서정적인가.

 

브레히트는 시론에서 서정시에 대한 고민을 토로한다.


*킨예브레히트를 지칭 


얼마 전 시인 킨예가 이러한 시기에 자연의 서정을 노래하는 시를 써도 되느냐고 나에게 물었습니다. 나는 써도 된다고 답해 주었습니다. 그를 다시 만나게 되었을 때 나는 그에게 자연의 서정을 노래하는 시를 썼는지 물어보았지요. 그는 못 했다고 대답했고 나는 그 이유를 물어보았어요. 그러자 그가 말했습니다. “나는 떨어지는 빗방울 소리를 독자들이 즐길 수 있는 체험으로 만드는 것을 내 과제라고 생각했어요. 그러나 이러한 생각을 하면서 그리고 이따금 몇 줄을 끄적거리면서도 나는 이 떨어지는 빗방울의 소리를 모든 사람을 위해, 즉 비 오는 날 비를 피할 잠자리를 찾아다녀도 집도 절도 없어 빗방울이 그의 옷깃과 목 사이로 그대로 떨어지는 그런 사람들까지도 즐길 수 있는 체험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제 앞에서 나는 그만 움츠러들었어요.”

예술이 오늘의 상황만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까? 언제나 빗방울은 있을 것이기 때문에 자연의 서정을 노래하는 시가 더 오랜 생명력을 가질 수도 있지 않을까?” 나는 짐짓 이렇게 떠보았습니다. 그러자 그는 슬픈 목소리로 대답했습니다. “맞습니다, 만약 옷깃과 목 사이로 빗방울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더 이상 없다면 그런 시가 쓰일 수 있겠지요.”

 

-pp.14-15



브레히트의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에서도 같은 고민을 읽을 수 있다.


*칠장이화가지망생이었던 히틀러를 지칭


꽃피는 사과나무에 대한 감동과

칠장이의 연설에 대한 경악이

나의 가슴속에서 다투고 있다.

그러나 바로 이 두 번째 것만이

나로 하여금 시를 쓰게 한다. 



히틀러의 나치를 피해 브레히트는 가족을 데리고 독일을 떠나 유럽과 미국을 떠돌았다. 그 과정에서 친구와 동지를 잃은 브레히트는 평생을 살아남은 자신을 의식하며 살았으며 <살아 남은 자의 슬픔>에서 '강한 자가 살아남는다'고 자조한다.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를 온몸으로 통과하며 자신이 시를 쓰는 동력은 분노라던 브레히트의 강변은 '아우슈비츠 이후 서정시를 쓰는 것은 야만'이라는 아도르노의 선언으로 이어진다.



「아침저녁으로 읽기 위하여」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나에게 말했다.

"당신이 필요해요"

 

그래서

나는 정신을 차리고

길을 걷는다

빗방울까지도 두려워하면서

그것에 맞아 살해되어서는 안 되겠기에. 

 

실존에 대한 치열한 고민이 브레히트로 하여금 서정시를 쓰게 했을까.

고작 빗방울로도 이토록 마음을 수런거리게 하는 브레히트의 분노라니...

 

다시,

실존주의 작가 브레히트의 시는 어쩌면 이리 서정적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웹 검색 중에 조선 칼럼이 갑자기 튀어나왔다.  

'ㅈ' 끄트머리만 보여도 뭐 묻을라 후다닥 도망가는데 이 무슨 갑분횡액인가 했더니, 칼럼 작성자가 작가 이응준이다. 이달 초에 이응준의 책을 몇 권 샀는데 검색 알고리즘이 그걸 기억했던 것이다.

기사 등록일을 보니 작년 6월이다. 

각 잡고 읽어보니 구구절절 원전 찬양이네요? 

원전 반대하는 환경노조도 보기 싫고 저탄소 추구하는 정치인도 보기 싫고 

뜬금 무근본 코뮤니즘은 뭐 어쩌라고 싶고.

그놈의 원전이 대체 뭐길래 미친...오랜만에 실컷 웃었다. 

작가님 원전이랑 예쁜 사랑하세요~꼬옥~


마침 엊그제 울산 간절곶에 갔다 왔다. 서생면을 에워싼 송전탑이 참 휘황찬란하고 웅장하더라. 

조용하니 풍광 좋던데 작가님에게 작업실 별장지로 추천박아드림. 


그래. 먹고 살기 힘든 세상이지. 누군가는 특히 더 어렵겠지.

뒤따르는 후배가 이렇게 든든하니 김훈 작가는 외롭지 않겠네. 

아, 김훈 작가가 후발대인가. 알빠아니고요.


한차례 짜증웨이브가 지나간 뒤 구입한 책의 출간일을 확인해보니 조선 칼럼 이후 출간한 책이 한 권 껴있다. 뭐 어쩌겠나. 그나마 한 권인 걸 다행으로 생각해야지...ㅇㅅㅂ...

잠깐이지만 큰 웃음 주신 작가님, 조선한테 금일봉 넉넉하게 받으셨길 바랍니다. 

원전의 광휘 아래 연년세세 발뻗고 행복하세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