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윌 엘즈워스-존스 『뱅크시_ 벽 뒤의 남자』


"사람들은 종종 낙서가 예술이 될 수 있는지 묻습니다.
음, 틀림없이 예술이죠. 그 얼어 죽을 테이트에도 걸려 있잖아요?"
『뱅크시_ 벽 뒤의 남자』
뱅크시의 그래피티에서 느끼는 가장 큰 쾌감은 역시 패러디와 패러독스에 있다. 예전에 M과 '예술을 한다면 뭔가 새로운 것을 창작하는 선구적인 태도가 필요하지 않을까' 라는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창작은 어려운 작업이고 선구적인 경향을 끌어내는 프론티어가 되는 건 순전히 '재능'의 영역이다. 세상엔 노력으로도 안 되는 것이 있다.
뱅크시는 명화에 변형을 주는 작업을 곧잘 했다. 이 책의 저자도 언급했지만 밀레의 '이삭 줍는 여인들'이 인기가 좋은데 뱅크시의 작업에 국한하면 내 취향은 밀레보단 모네다. 콕 집어 수련 연못에 쇼핑 카트를 처박은 발상이 무척 재미있다. 뱅크시가 붙인 제목도 재미있는데 이를테면 밀레는 '직업소개(Agency job)', 모네는 '쇼 미 더 모네(show me the monet)' 하는 식이다.


(위)『벽 뒤의 남자』 ㅣ (아래)『Wall and Piece』
(아래) 'show me the monet' 왼쪽에 고흐의 '해바라기'가 있다. 제목 'Sunflowers'옆에 'Petrol station'을 덧붙였는데 뱅크시의 작업물은 보면 볼수록 선언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분명히 말하지만 '선동'이 아니라 '선언'이다.
-
Banksy 『Wall and Piece』



표지와 목차


'쥐'가 뱅크시에게 의미가 있는 건지, 그래피티 작업자들에게 의미가 있는지 가끔 궁금하다.
어쨌든,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몸값이 비싼 쥐가 아닐까 싶은 뱅크스의 쥐(들).
'The human race is the most stupid and unfair kind of race'에서 뱅크시가 인간을 보는 시각을 살짝 엿본 기분이 든다.
이하 책장을 훌훌 넘기다 손이 멈춘 몇 페이지.

Why would someone just paint pictures of revolutionary when you can actually behave like one instead?

I told her 'I'd had an epiphany that night and she told me to stop taking that drug 'cos it's bad for your heart'
뱅크시를 알고 싶다고 생각하게 된 계기는 웹서핑 중 sns에서 뱅크시의 글을 읽고서였다. 뱅크시의 육성이 궁금해서 원서를 주문하고 며칠을 기다려 마침내 읽은 'when i was eighteen'으로 시작하는 '그날밤의 일화'.

재미있는 우연인데 책을 읽기 며칠 전 S와 차로 이동 중에 이 페이지와 동일한 내용, 이른바 'Brandalism'에 관한 얘기를 나눴다.
그러니까 교차로에서 신호를 받고 잠시 정차했을 때의 일이다. 정면 옥외 광고판이 번쩍이는 걸 보다가 갑자기 불만이 터져나왔다. 나는 저 기업으로부터 아무런 대가도 받지 않는데 왜 도로 한복판에서 일방적으로 저 기업의 광고를 봐야 하는 거냐고!


뱅크시가 주목하는 사회담론을 쫓아가다보면 책의 제목인 'Wall'이 중의적이라는 깨달음이 온다.
'wall'은 뱅크시가 작업을 하는 담벼락일 수도 있고, 팔레스타인을 위협하는 장벽일 수도 있고, 편견과 불평등을 용인하는 인식의 부조리일 수도 있다. 그래서 내겐 뱅크시의 작업의 시작과 끝이 결국 작가주의처럼 느껴진다. 뱅크시는 저항하는 자일까 자유주의자일까. 둘 다일 수도 있고 둘 다 아닐 수도 있고. 처음엔 궁금했는데 시간이 지나니 아무려면 어떤가 싶다. 분명한 건 뱅크시의 관심이 늘 세상을 향하고 있다는 거다.
뱅크시의 그래피티는 변방에서 시작했으나 결국 주류에 안착했다. 하지만 여전히 그는 변방에 있다. 변방에서 변방을 얘기하고, 변방에서 주류를 얘기한다.
“The Bad artists imitate, The Great artists steal
- Picaso
예전에 봤을 땐 별 감흥 없었는데 이제 보니 피카소만이 할 수 있는 말이구나 싶다.
그리고 외전_ 코로나 시대의 뱅크시 (출처.banksy.co.uk)


디테일이 위트가 넘치고 재미있는 작업물이다.
뱅크시가 하면 놀이도 작품이 되는 부러운 재능의 세계.
팬데믹으로 락다운 상황에 놓인 이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상황을 견뎠다. 혹은 즐기거나.
뱅크시는 아마도 '즐긴' 쪽인 것 같다. 뱅크시에 의하면 부인이 질색했다고...
부인의 질색에 공감한다. 나라면 저 욕실에 절대로 안 들어갈거다.
여담_
1. 엊그제 페이퍼에 뱅크시를 언급한 김에 내처 뱅크시 하나 더! 까지는 좋았는데 페이퍼 하나를 썼을 뿐인데 즈질체력이 바닥났다.
2. 사실 '뱅크시'는 예전에 작성한 글인데 이미지와 내용을 정리해서 새로 쓰려니 바늘이 소가 됐다.
3. 그나저나 T1은 어쩌고 있는지. 슈뢰딩거 고양이 같은 녀석들! 고백하건대 이 페이퍼의 목적은 월즈 진출이 걸린 플레이오프2R를 관전할 용기가 없어 도피성 회피성이다.
4. 이대로 가을인가? 당황하기엔 벌써 9월 중순도 끝무렵이다. 아 세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