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케인의『거장처럼 써라』에 대한 이동진 기자의 추천사를 옮기면, '글쓰기 방식에 대한 실용적 조언과 영문학사 거장들에 대한 흥미로운 지식을 함께 얻을 수 있는 영양가 높은 책' 이라고 한다.
『거장처럼 써라』 의 집필 의도는 한마디로 '거장의 글쓰기로부터 작법을 배운다'라는 건데, 사실 글(시, 소설, 논문 등 텍스트로 된 것이라면 뭐든) 쓰는 방법에 관한 책만큼 쓸모없는 책도 없다. 좋은 작가가 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동서고금 막론하고 3多, 즉,  다독/ 다상량/ 다작 이상 없기 때문. 한마디로 좋은 글을 쓰기 위해 '글 잘 쓰는 방법' 혹은 '작가가 되는 방법'을 읽는 건 '돈 잘 버는 방법', '결혼 잘 하는 방법'을 읽는 것 만큼이나 쓸 데 없는 낭비다.
어쨌든 늘 미묘하게 취향이 빗나간다 싶던 이동진 기자의 추천사 '영양가 높은'에 혹해서 읽은 『거장처럼 써라』는 예상한 것보다 훨씬 재미있고 유익했다. 여기서 유익하다는 건, 작가의 작법 스타일을 안다는 건 다시 말하면 작가의 소설을 이해한다는 의미도 되는데 이 책이 이러한 역할을 충실하게 해내기 때문. 예를 들면 멜빌의 시적인 문장이 두운을 맞추는 노력에서 나온 것이라던가 멜빌이 자신의 작품에서 기교와 상징을 어떻게 다루었는가에 대한 친철한 해석이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독서도 결국 유흥이라고 볼 때, 재미와 유익 중 선택을 해야한다면 당연히 재미다. 그런 점에서 다행하게도 이 책은 일단, 무엇보다, 재미있다.
이 책에는 발자크를 시작으로 21인의 작가가 등장하는데 이 중 내가 작품을 읽어보지 못한 작가는 네 명이고, 그 중 한 명이 크누트 함순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 만나기 전까지 이름도 낯설었던 함순이 내게 예상 못 한 큰 재미를 준다.
작가도 모르고 작품도 모르는데 이 챕터는 뛰어 넘을까- 약간 심드렁한 기분으로 페이지를 넘기는데 직후에 그만 육성으로 웃음이 터지고 말았다. 결국 책을 읽다 말고 친구에게 전화했다.

아낙: 크누트 함순이라는 노르웨이 작가는 2차 세계대전 때 히틀러를 지지했대
친구: 왜?
아낙: 영국이 싫어서!

 

아낙: 독일군이 조국을 점령했을 때도 함순은 히틀러를 지지했대. 왜인지 물어봐줘
친구: 왜?
아낙: 영국이 싫어서!

그러니까 작가로 비교적 빨리 성공해 앞날이 창창했던 함순의 미래에 암운을 가지고 온 건 2차 세계대전이었는데, 이 시기에 함순은 독일의 히틀러를 공개적으로 지지한다. 심지어 그 히틀러가 조국 노르웨이를 점령했을 때도 함순은 히틀러를 지지한다. 왜? 영국이 너무나 싫었으니까. 친독주의자가 아니었던 함순은 그저 영국이 너무 싫었던 반영주의자였기 때문에 히틀러와 히틀러의 독일군을 지지한다. 노벨상을 수상했던 이 작가가 내게 그토록 낯설었던 건 아무래도 저런 배경의 영향이 있지 않았을까 추측해본다. 그나마 전후 나치 지지로 벌금형을 받았다고 하니, 프랑스에서 태어나지 않은 게 함순으로선 불행 중 다행인가 싶기도 하고.
후대 작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함순의 재능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 멀리서 보면 희극이라던 채플린의 격언이 떠오른다. 글 잘 쓰는 양반이 정치적으로 올바르기까지 하다면야 더 바랄 게 없지만 어쩌겠는가. 작가도 인간인 것을.

 

한편 이 책은 다음의 발췌문처럼 재미와 유익함을 동시에 충족시켜주는 부분도 있다.

 

애초에 카프카가『변신』을 쓴 의도는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개중에는 카프카의 의도를 눈치챈 이들도 있다. 『포트노이 씨의 불만』(1960)의 저자이자 퓰리처 상 수상작가인 필립 로스도『변신』을 배꼽 빠지게 웃으며 읽었다고 한다. "나는 …… 책상머리에 앉아서 떠벌리는 프란츠 카프카라는 코미디언과 그가 쓴『변신』이라는 제목의 웃기는 책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내가 낄낄거렸던 대목에서는 카프카 자신도 글을 쓰다가 혼자 미소를 지었을 거라고 확신한다. 나는 이 소설을 읽는 내내 배꼽을 잡았다. 왜 아니겠는가. 이토록 지독하게 죄의식에 사로잡힌 인물은 일찍이 본 적이 없다. 징그럽지만 정말 웃긴 소설이다." - pp.166-167 『거장처럼 써라』

 

이 문단을 읽고 내가 받은 충격은 중 1때 『변신』을 처음 읽고 받은 충격과 거의 맞먹는다.
아니, 그 암울하고 음울하고 음습하고 피폐하고 읽는 내내 가시 방석에 앉은 것처럼 불편한 기분과 씨름하게 만드는 카프카의 소설이 배꼽 빠지게 우습다고? 게다가 작가 역시 웃음을 주기 위한 의도로 썼다고?

카프카는 소설로 내게 충격을 주더니 이렇게 또 한 번 내 뒤통수를 친다. '문학이란 뒤통수를 때리는 것이어야 한다'던 카프카의 말은 착실하게 자기실천적 금언이었던 셈.
어쨌든『변신』이 그런 의도로 쓰여졌다는 걸 알고 나니 카프카의 벽이 한층 낮아진 것을 느낀다. 어두운 공간을 메웠던 불길한 상상의 이미지들이 불을 켜는 순간 밝은 빛속으로 일제히 흡수되어 사라지는 것처럼, 아마 이후로는 (나로선 여전히 괴상하게 보이는) 그의 유머를 즐기는 데까지는 아니더라도 보다 편하게 마주 볼 수 있지 않을까 기대를 하게 되는 대목.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2-06-18 09: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 패스했던 책인데 담습니다.
글쓰기 방식에 대한 실용적 조언,이라는 말을 내세운 책이 하도 많지만
이 책은 더 재미있을 것 같아요. ^^
카프카는 그랬군요, 역시. 문학이란 뒤통수를 때리는 것이어야 한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