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년 뒤에 쓰는 반성문>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삼십 년 뒤에 쓰는 반성문 문지 푸른 문학
김도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이 성장소설이라는 건 책을 다 읽고서야 알았다.
소설을 읽는 내내 느꼈던 감상은 어른을 위한 동화랄까, 소설이 참 착하다라는 것. 정말 소설이 착하다.
내용은 제목이 소개하고 있는 것처럼 중2 때 담임이 내준 반성문을 30년이 지나서야 쓰게 된 나의 과거와 현재를 오간다.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통로였던 웅변을 그만둔 직후 나선 백일장. 그리고 그 백일장에서 중압감을 못 이기고 우연히 읽은 남의 글을 '일부' 가져다 쓴 것이 빌미가 되어 쓰게 된 원고지 500매의 반성문. 그러나 벌을 수행하면 죄를 인정하는 것이 되기에, 또 그 외에도 내,외적인 이유와 변수들로 인해 나는 반성문을 쓰는 것을 자꾸만 미루게 된다. 그리고 30년 만에 담임선생님의 병실에서 다시 화두처럼 떠오른 아직 쓰지 않은 반성문과 과거의 기억들. 그리하여 목련을 보면서 마침내 쓰기 시작하는 반성문은 자신의 잘못과 마주하는 당혹감을 지나자 이내 지나간 시간을 향한 향수를 불러오는 추억 여행이 된다.
내용 중에 아내가 나에게 '반성이 아니라 변명처럼 보인다'고 지적을 하는 부분이 있는데 어쩐지 공감이 가는 대목이었다.
사실 긴 학창시절 동안 반성문을 써 본 경험이 없어 잘 모르지만 만약 반성문을 쓴다면 나 역시 자기 최후 변론 같은 글을 쓰고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드는 것이다.
정성을 들인 문장이 참 예쁘게 다가오는데 그래서인지 목련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이 마치 시인의 그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여담인데, (소설 속)김 작가가 쓴 백일장의 글을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눈 오는 겨울, 정거장, 소녀, 소녀가 두고 간 사진... 그 위에 덧입혀진 까까머리 중2 남학생의 정서가 궁금하다.

「삼십년 뒤에 쓰는 반성문」이 어른을 위한 착한 소설이라면 이어지는 단편「진부의 송어 낚시」는 한 편의 유쾌한 콩트를 읽은 듯한 느낌이 든다.
짧은 분량임에도 상당한 존재감을 가지고 다가온 정미도, 정미의 담임도, 송어축제 게시판을 수놓는 글들도 모두 깨알같은 잔재미를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