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이외에는>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죽음 이외에는 머독 미스터리 1
모린 제닝스 지음, 박현주 옮김 / 북피시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아주 오래 전에 TV에서 본 <셜록 홈즈의 눈물>이라는 영화가 여전히 인상적인 영화로 기억에 남아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영화 전반에 걸친 어둡고 음울하고 엽기적인 정서 때문이다. (검색 해보니 비디오로 출시된 제목은 <살인 지령>이다)
매음굴에서 여성이 살해되는 사건이 벌어지고 셜록 홈즈가 사건을 쫓는데 단순한 치정 살인인가 했던 사건은, 점차 사건의 중심에 부패하고 잔혹한 권력이 연루되어 있음이 드러난다.
<셜록 홈즈의 눈물>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장면은 사건 전체를 파악한 셜록 홈즈가 분노하는 장면이었는데, 부패한 권력이 벌이는 그들만의 잔치에 사회의 가장 최하층이라고 할 수 있는 매춘부들이 희생된 것에 대한 분노였다. 여기엔 사건의 전말이 모두 드러났음에도 흔들리지 않는 견고한 성역에 대한 분노도 포함된다.
소위 말하는 셜록키언은 아니지만 '셜록 홈즈'를 읽은 이래 나는 아마 그때 처음으로 셜록 홈즈가 어둡고 피폐한 탐정 소설이었던가 의심했던 것 같다. 실제로 어려서 읽은 셜록홈즈는 사건의 미스테리를 푸는 탐정의 활약에 시선을 빼앗겼다면, 최근 다시 읽은 셜록 홈즈는 사건 자체보다 사건을 둘러싼 군상들의 모습과 당시 사회의 분위기가 눈길을 끈다. 

섬나라는 대륙과 달리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육로가 끊어지는 데서 오는 폐쇄성과 고립성 때문인지 유독 엽기적인 사건이 많은 듯 느껴진다. 모린 제닝스의 추리소설『죽음 이외에는』의 배경은 캐나다지만 영국 태생인 로즈 부인의 청교도적인 분위기나 눈이 펑펑 내리는 얼어 죽을 듯 차가운 겨울이라는 계절적 배경으로 인해 안개 자욱한 영국의 음울한 정서가 연상된다. 여기에 더해 추운 겨울 밤 나체로 얼어 죽은 채 발견된 어린 소녀의 신분과 종교로 인해 시작부터 편견과의 힘겨루기를 하는 머독 형사의 모습 역시 우울하게 다가온다. 
지금이야 인터넷의 보급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 각지에서 일어나는 온갖 엽기적인 사건 사고들을 접하면서 '엽기'에 대한 감각이 무뎌질만도 하지만 여전히 청교도적 정서의 영향을 받았던 19~20세기 초반의 유럽은 어땠을까. 아마도 어리고 예쁜 하녀가 추운 겨울 거리에서 얼어 죽은 시체로 발견된 사건이 큰 파문을 일으켰음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그것도 아이를 임신한 상태이고 사체에서 마약 성분이 발견되었다면 더 말할 것도 없다. 

가난한 사람들의 범죄는 보통 생계에서 비롯된다. 먹고 살려고, 죽지 않으려고 벌이는 생계형 범죄가 대부분이다. 반면 가진 사람들의 범죄는 대개 그들의 욕망에서 비롯된다. 여기서 불행은, 가진 사람들의 탐욕이 불러 들인 비극에는 가지지 못한 사람들의 희생이 따른다는 것이다. 그런 생각이 든다. 자신의 탐욕을 다스리지 못해 벌어지는 (소위)'사회 지도층' 인사들의 범죄야말로 엽기적인 것이 아닐런지. '일어나지 않아도 됐을'과 '일어날 수 밖에 없었을'의 간극은 뚜렷한데, 전자(가진자)는 개인의 책임이고 후자(가지지 못한 자)는 사회의 책임인 경우가 많다. 그런 점에서 <셜록 홈즈의 눈물>에 비하면 (대체로) 권선징악이라는 결론에 이르는『죽음 이외에는』는 그나마 희망적이다. 
'머독 시리즈'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모린 제닝스의 탐정 추리소설이 TV시리즈로도 제작, 방영되었다니 언제 기회가 있으면 한번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