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후화》는 아무래도 앞서 개봉했던 장쯔이 주연의《야연》과 비교가 불가피한데,《야연》이 색채의 화려함이 주는 영상미의 극치를 보여줬다면《황후화》는 방대한 공간의 스케일이 스크린을 장악하는 느낌이 확연하다. 
예전에 북경 여행을 갔을 때 대륙의 웅장함이라고 할까, 압도당하는 기분을 느꼈었는데 이 영화는 그 때 느꼈던 그 웅장한 분위기가 제대로 전달된다.  

무엇보다 장이모우의 예전 영화들에 비해 이번 영화는 엄청난 물량공세를 투입한 기색이 역력하다. 가끔 자본에 감독의 역량이 밀리는 영화를 보는데 이 영화는 감독이 영화에 투입된 자본을 십분 잘 활용했구나, 생각이 든다. 앞선《영웅》의 라스트신에서 보여주었던 내공이 이번 영화에서 절정에 달했다는 생각도 들고. 결론은《황후화》는 극장에서 넓은 스크린으로 봐야 할 영화다. 웅장함도 웅장함이지만 영화가 보여주는 중국 황실 의식주의 섬세한 디테일은 작은 화면으로 축소되면 아무래도 스크린이 주는 것보다 감탄이 확 줄어든다.
화려한 볼거리에 비하면 내용은 평이하다. 권력이 있고, 그 권력의 그늘이 있고. 권력을 유지하려는 자가 있고 그 권력을 꺾으려는 자가 있다. 남녀의 정과 부자(父子)의 정은 권력 앞에서 물처럼 연기처럼 형체를 갖추지 못하고 덧없이 흩어진다. 엇나간 애정의 비극이 영화 전반을 지배하는 색채와 비감이 잘 어우러진 느낌.   

'황실비극'까지는 아니지만 황실을 배경으로 권력이란 한바탕 꿈을 꾼 듯 몽롱하고 덧없는 인생의 그림자임을 보여주는 쑤퉁의『나, 제왕의 생애』는 놓치면 아까운 소설이다.

 

  

 

장이모우 감독은 사회주의 체제하의 중화권의 감독치고는 ‘치정’에 남다른 철학이 있는 듯 보인다.《영웅》의 연장선에서 보면, 정점에 선 권력을 바라보는 시각은 냉소적인 것 같은데《집으로 가는 길》《홍등》《국두》등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남녀 간의 사랑을 보는 시각은 상당히 로맨틱한 것 같기도 하고. 어쨌든 흥미로운 인물이다. 

《국두》의 원작소설「푸시푸시」수록. 

《홍등》의 원작 소설「처첩성군」수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