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남편
모드 방튀라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사랑에 빠져 있다. 내 남편과 사랑에 빠져 있다. 아니 그보단 이렇게 말하는 게 낫겠다. 나는 내 남편과 언제나 사랑에 빠져 있다. P9

시작이 로맨틱하면서도 강렬하다. <내 남편>과의 일상을 월화수목금토일, 단 일주일 기록했다. 그런데 360페이지가 넘는다? 말이 되나? 얼마나 스펙타클한 이야기이기에 가능한 것일까? 했는데 반전이!!! 너무 재미있었다!!! 책을 시작하고 바로 2/3을 읽었다. 뒤 내용이 궁금해서 일어날 수 없게 몇 시간을 의자에 묶어두었다. 그만큼 몰입감이 최고였다.





남편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하나에 집중하며 모든 일상이 <내 남편>이 중심이 된다. 손을 잡아주지 않는 것, 옆에 있는데 휴대전화를 보는 것, 잠들기 전 잘 자라고 인사하지 않는 것등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그리고 나름의 규칙을 세워 자신만의 방식으로 벌을 준다.



읽다보며 오래된 여느 부부들 사이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상황들을 바라보는 시선과 해석이 남다르다 느껴진다. 그래서 더욱 빠져들어 읽은 것이 아닐까 한다. 그녀의 작고 소심한 벌들에 통쾌해하며 언제가 신랑에게도 살짝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이 책의 압권은 마지막 에필로그다. 에필로그에 나온 상황들을 책의 처음부터 다시 찾아 읽어보았다. 작가가 곳곳에 숨겨놓은 복선들이 모두 완성된 것을 확인하고 소름이 돋았다. 스포는 노노!! 직접 읽어보시길 강력 추천한다!!!



프랑스 <첫 소설 문학상> 수상

영국 아마존 올해의 책

『오프라 데일리』『보그』 선정 최고의 책

12개 언어로 출간



수식어가 참 많다. 그런데 모두 대단하다. 그러나 책을 읽고 나면 고개를 끄덕이며 인정하게 된다. 2021년 까다로운 프랑스 비평가들이 수여하는 <첫 소설 문학상>을 받았다. 2023년 문고판 발행 이후 독자들의 뜨거운 호응과 찬사를 받으며 대형 베스트셀러가 된다. 그리고 12개국 언어로 번역 출간 되었다.



번역가, 학교 교사, 두 아이의 엄마, 친구, 동료 등 여러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내 남편의 <아내>에 가장 집중을 한다. '한 여자'가 가지는 이름이 이처럼 다양하다.




작가는 브뤼Brut와의 인터뷰에서 <내 남편>이 페미니스트 소설이냐는 물음에 <그렇다. 대단히, 매우 매우 페미니스트 소설이다. P 382>라고 대답한다.



이유는 <애정관계에 대해 말하고 있고, 의존성을 다루고 있으니까. <중략> 부부가 페미니즘의 중요한 영역인지 보여 주는 사례는 무수히 많다. 나는 페미니스트이고, 부부 사이에서의 페미니즘을 다루고 있다.>라고 했다. 모드 방튀라의 인터뷰 내용은 이 책을 꼭 읽어야 하는 이유가 된다.



기자는 <나는 남자다. 내가 당신의 책을 여자만큼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는가?> 라고 이어서 질문한다. 모드 방튀라는 <그렇다. 당연히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중략> 남자도 이런 테마에 감동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P383>라고 대답한다. 페미니즘을 떠나 남자든 여자든 많은 독자들이 꼭 한 번쯤은 읽어보길 추천해 본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를 통한 열린책들 출판사의 지원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