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유 (양장) - 무소유 삶을 살다 가신 성철·법정 스님의 아름다운 메시지
김세중 지음 / 스타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영우 고래 사진'으로 유명한 장남원 작가가 성철 스님의 사진을 찍으러 갔을 때의 일이다. 당시 10여 년의 수행을 끝마치고 큰 설법을 연 성철 스님을 취재하고 사진을 찍으려 많은 이들이 해인사를 찾았다 한다. 그런데 자신을 만나려면 3,000배를 하라는 말에 대부분의 기자들은 돌아가고 몇몇 기자들은 시작하였지만 108배, 500배, 1,000배도 채우지 못하고 나가떨어졌다고 한다.

📖

드디어 성철 스님을 뵈러 갔더니 누더기를 입은 해맑은 스님 곁에 뜻밖에도 맑고 단정한 법정 스님이 함께 계셨다. P301

자신은 이제 갓 입사한 신입이라 무슨 일이 있어도 성철 스님의 사진을 찍어가야겠다고 생각하고 죽을힘을 다해 절을 하고 있는데 한 스님이 오더니 성철 스님께서 부르다고 하였다. 아직 3,000배를 못 채웠다 하니 웃으며 '3,000배를 하라는 것이 아니라 3,000배를 해야겠다는 마음가짐을 본 것이라고 하셨다'라고 한다. 그리고 사진을 찍으러 가니 성철 스님과 법정 스님이 나란히 계셨다고 한다.

'마음가짐'에 따라 세상이 달라 보인다는 것은 모두 알고 있고 있다. 그리고 결과도 큰 차이가 난다. 이러한 사실을 알면서도 왜 포기를 하고 불평불만을 늘어놓으며 아까운 시간들을 허비하고 있을까?

'무소유'를 읽어보면 이미 알고 있는 사실들이 굉장히 많다. 그래서 더 크게 와닿았다. 잊고 있었던 삶에 대한 자세를 다시 한번 생각나게 한다. 불교의 법경은 어렵다고 알았는데 그냥 우리가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것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

우리는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지만,

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마음을 쓰게 된다.

따라서 무엇인가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는 것.

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이 얽혀 있다는 것이다.

법정 스님 무소유 - P130

실타래가 너무 많이 얽혀 있으면 풀 수가 없다. 인생도 그렇다. 너무 많은 것을 얽히게 되면 꼬여서 풀리지 않는다. '비우는 것' 즉 버리는 것은 얽힌 매듭을 하나하나 푸는 것과 같다. 무언가 일이 풀리지 않을 때는 어디가 필요 없는지, 틀렸는지를 찾아서 버리다 보면 나중에는 꼭 필요한 것만 남게 된다. 가벼워진 상자에서는 찾는 물건을 금방 찾게 된다.

성철 스님과 법정 스님은 이 단순한 원리를 직접 실천하며 우리에게 이야기하신다. 몇 방울의 기름을 버렸다고 호통을 치고 튼튼한 나일론 양말 선물을 마다하고 손수 기웠다. 많이 가진다고 해서 편하거나 행복한 것이 아님을 알고 있기에 가능한 이야기이다.

법정 스님의 '무소유는 아무것도 갖지 않는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라는 말씀에 집안 빼곡히 쌓인 물건들이 생각났다. 정리되지 않아 여기저기 쌓여 어떤 물건이 있는지도 몰라 찾기도 어렵고 있는 물건을 또 사기도 한다. 반성해 본다.

며칠간은 집 정리를 할 것 같다. 다음 주면 큰아들이 군대에서 휴가를 나온다. 군대를 가서 비어있는 두 아들 방은 어느새 창고로 변해 짐들이 쌓여있어 정리를 해야 한다. 아이들 방을 시작으로 냉장고, 주방 베란다까지... 정리가 시급한 곳이 많다.

세상 살아가는 게 너무 복잡해 되는 일이 없다고 한탄하는 분들께 추천드린다. 그리고 무한 힐링이 필요한 이들에게도 권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