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도 장례식장에 간다 - 동물들의 10가지 의례로 배우는 관계와 공존
케이틀린 오코넬 지음, 이선주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유전자가 바나나와 50퍼센트 겹친다고 한다. 이 부분을 읽으며 너무 놀라워 몇 번을 다시 읽어보았다. 우리 세포가 바나나와 공유되다니... 그리고 초파리, 쥐, 침팬지 등과도 매우 높은 숫자의 퍼센트가 일치한다고 한다. 이처럼 인간은 여러 동물들과 많은 부분을 공유한다. 그래서 여러 의례들의 모습도 비슷한 것일까?


현명한 동물들은 더 꽉 껴안고, 더 오래 바라보고, 더 신명 나게 춤추고, 더 크게 웃고, 더 오랜 시간을 들여 슬퍼하고 삶을 채워나간다. 이들처럼 매일매일의 작은 의례들에 마음을 쏟아 온전히 표현하며 살아간다면 우리의 삶도 그렇게 무의미한 것만은 아닐지도 모른다.

코끼리도 장례식장에 간다 추천사 - 루리. <긴긴밤> 저자


추천사 중 긴긴밤의 저자의 글이 유독 인상이 깊었다. 동물들도 우리와 비슷한 의례들을 한다는 것이 신기한데 그에 더해 <현명한 동물들>이라는 표현에서 신기한 것을 넘어선 묘한 감정이 일어났다. 책을 모두 읽고 나면 이 감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을지 궁금해졌다.


흔히 동물들은 본능을 우선시한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인간만이 고유의 언어로 소통을 하고 격식을 차린 각종 의례를 하기에 모든 동물들의 정점에 있다고 여긴다. 그런데 동물들도 인간과 같은 의례들을 행동한다?! 어떤 동물들이 어떤 의례들을 행할까 하는 물음에 책장을 넘겨본다.


책은 동물들의 10가지 의례를 담고 있다. 인사, 집단, 구애, 선물, 소리, 무언, 놀이, 애도, 회복, 애도 의례들이다. 차례를 쭉 훑어보며 모두 인간들이 행하는 것들이다. 인간과 비슷한 침팬지에서나 이러한 것들이 있을 줄 알았는데 늑대, 코끼리, 하마, 코뿔소 등과 심지어 개미들도 이중 몇 가지의 의례를 한다는 것에 놀라웠다. 모든 의례와 동물들의 이야기를 적기에는 지면이 작아 아쉽다. 잔뜩 그은 밑줄과 붙여진 인덱스을 모두 기록할 수는 없는 것인지......


여러 의례 중 무언의 의례가 많은 궁금증을 불러왔다. 그 앞이 소리 의례라 곧이어 정반대의 의례가 나와서 더 그러하지 않았나 한다. 늑대의 우두머리 카모츠와 그의 형제 라코타의 이야기이다. 무리의 서열상 최하위인 라코타는 카츠모가 다가오자 어깨를 구부려 몸을 웅크리고 애원하듯 머리를 숙인다. 이것은 늑대들 사이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항복의 표시이다. 흥미로운 것은 라코타의 몸집이 제일 크다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우두머리가 아니라는 것은 늑대의 서열이 몸집으로만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머리를 숙이거나 웅크리는 무언의 행동으로 항복을 표시하고 엎드린 늑대 위에 올라 이빨을 드러내는 것으로 자신의 힘을 과시한다. 사람들은 대화를 하며 상대방의 몸짓이나 표정을 수시로 살핀다. 이 모든 것들은 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 모두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 과정들이 서로 간의 관계의 방향을 결정하기도 한다.


애도의 의례를 하는 동물들 꽤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죽음학이라는 학문이 따로 있다는 재미있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죽음학은 전통적으로 사람에게만 초점이 맞춰왔다. 지금은 몇몇 벌레, 새, 원숭이와 유인원 등 포유동물로 범위를 점점 넓혀가고 있다.


이들에게도 애도할 기회를 주는 것이 더 좋겠다고 생각했다.

코끼리도 장례식장에 간다 P240


얼룩말 가족이나 코끼리 가족은 죽은 가족 곁을 떠나지 않는다. 두 동물 모두 덩치가 커 옮길 수 없기에 그저 곁을 지킨다. 냄새를 맡고 건드려보고 흙을 덮어 주기도 한다. 가까운 누군가의 죽음은 엄청난 심리적 타격을 준다. 몇 년 전 췌장암으로 1년 반이 넘는 기간을 투병하다 친정엄마가 돌아가시자 한동안 너무 힘들었다. 꽤 긴 시간을 힘들어했었는데 저자의 글을 보니 이해가 되었다.


누군가의 죽음을 보게 되었을 때 충분한 애도의 과정이 있어야 한다고 한다. <애도는 살아 있는 우리와 떠날 사람을 돌아볼 시간을 준다. P243>고 한다. 돌이켜보니 엄마가 돌아가실 때 너무 멀리 있어 곁을 지키지 못한 것이 아마 오랜 시간 힘들었던 이유가 아니었을까 한다. 동생에게 엄마의 임종 소식을 들은 날이 토요일이었고 다음날인 일요일에 엄마를 보러 갈 생각이었다. 엄마의 장례식 때도 <하루만 기다리지>라는 말을 하였지만 마음속으로는 하루만 일찍 내려갈 걸이라는 후회가 있었다. 이후 몇 달간을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힘든 것이 충분한 애도의 시간을 가지지 못해서라니...... <현명한 동물들>이라는 단어에 느꼈던 감정은 아마도 그 당시에 현명하게 행동하지 못하였던 것에 대한 바보 같은 깨달음이 아닐까 한다.


처음에는 <동물의 세계>와 비슷한 다큐멘터리일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책은 의례를 통해 사람들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동물과 사람, 자연과 인간들의 공존과 상생의 메시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지구의 온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고 멸종 위기의 동물들의 수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이런한 상황이 계속된다면 인간이라는 종도 멸종될 날이 올 수도 있다. 지구라는 행성에서 살아가고 있는 이들이라면 한 번쯤은 꼭 읽어보길 권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