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양 에디터스 컬렉션 13
다자이 오사무 지음, 오유리 옮김 / 문예출판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자이 오사무를 제대로 만났다. 달려라 메로스의 밝은 다자이 오사무밖에 몰랐었는데 사양은 깊은 우울감과 절망이 느껴졌다. 인간 본성 바닥은 어디쯤일까? 떨어져도 떨어져도 닫지 않는다. 그러다 결국 모든 것들에 손을 들고 항복하며 자신을 버린다.


일본의 몰락 귀족 가문의 이야기이다. 이야기를 이끄는 화자 가즈꼬는 집안의 장녀이다. 어느 날 갑자기 아버지는 돌아가시고 남동생 나오미는 막대한 마약 빛을 남기고 군대에 가버렸다. 어머니와 둘이 살던 중 어머니의 남동생, 외삼촌이 더 경제적으로 어려워 더 이상은 집을 유지하기 힘들다 하여 니시카타초에서 산골 동네 이즈로 이사를 한다.


남동생 나오지는 언젠가부터 불량해 보이는 우에하라 씨와 그 무리들과 어울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약에 빠져든다. 돈이 없어 약국에 외상을 지면 누나인 가즈꼬에게 보내달라 부탁을 하기도 하였다. 보내달라는 돈의 규모가 점점 커지던 어느 날 가즈꼬는 우에하라 씨를 찾아간다. 그리고 그와의 사이에 비밀이 생기게 된다.


죽자고 마셔대는 거야. 살아 있다는 게 서글퍼 견딜 수가 없어. 외로움, 쓸쓸함, 그런 배부른 감정이 아니라 그저 슬퍼. 칙칙해. 나를 둘러싼 사방의 벽에서 탄식 소리가 들려오는데 나만의 행복 따위가 있을 리 없잖아.

사양 P167


이 책의 분위기를, 패전 후 일본의 모습을 가장 잘 나타내는 부분이 아닌가 한다. 세계 경제대국 2위까지 올라갔던 일본의 패망은 당시 일본인들에게는 큰 충격이었을 것이다. 이에 느껴지는 허탈감, 박탈감 등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섞인 무력감이 일본 전체를 누르고 있던 시기이다. 그리하여 많은 이들이 술과 마약 등에 빠져 한탄의 소리를 내고 있었다.


<행복>은 인간이 살아가며 끊임없이 원하는 것이다. 나의 행복, 가족의 행복, 타인의 행복. 그것들이 좌절되는 순간 어떤 느낌이 들까? 행복하기 위한 노력이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느껴지는 것은 비참함일 것이다. <비참한 인간들이 너무 많아. 재수 없지?>라는 우에하라의 말에 가즈꼬는 <아니>라고 대답한다. 그리고 <난 지금 행복해요.>라 한다. 가즈꼬가 원하는 행복은 사랑이었을까? 원하는 사랑이 영원하지 못하고 불안한 것인데도 그를 향해 달려가는 것은 어떤 이유일까?


우에하라의 모습이 당시의 일본을 말한다면 가즈꼬를 통해서는 희망을 이야기한다. 그녀는 <나는 내 혁명을 완성해 나가기 위해 꿋꿋이 살아갈 수 있을 것 같아요.>라고 말한다. 그 시절 지쳐 쓰러져 절망감에 빠져있는 이들에게 전하는 다자이 오사무가 보내는 응원이다.


마지막 장을 덮고 뒤표지를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니 아쉬움도 있었지만 내일에 대한 기대감도 일었다. 당시 책의 표지가 어떠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문예출판사에서 선택한 표지와 사양이라는 제목과 책의 전체적인 느낌이 너무 잘 매치되어 더 많은 생각을 이끌어내는 것 같다.


사양은 초판본이 만여 부나 판매될 정도로 다자이 오사무가 살아있을 당시 그의 최고 인기작이라 하니 그를 좋아하고 작품에 관심이 있는 분들께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