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쓰레기 1제로 - 지금 바로 실천하는 101가지 제로 웨이스트
캐서린 켈로그 지음, 박여진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맥시멈리스트라기도 미니멀리스트라기도 애매하다. 4개의 베란다는 정리되지 않은 짐들로 가득하지만 계절별로 필요한 물건들이 대부분이다. 필요 없는 물건들은 주기적으로 정리해서 버리거나 나눔을 하고 있다. 그런대도 여유 공간이 생기지 않는 것은 불가사의하다.


꾸준히 물건을 정리하는데도 10년이 넘은 것들이 여전히 책장이나 서랍 한구석을 차지하고 있다. 무슨 미련 때문에 붙들고 있는지 모르겠다. 한때는 미니멀리스트나 제로 웨이스트를 해보자 의욕적으로 방법을 찾아보고 실천하려 해보기도 했다. 하지만 오래가지 못하고 번번이 제자리로 돌아왔다. 그나마 꾸준히 하고 있는 것은 자주 쓰는 일회용비닐봉투를 생분해되는 것으로 바꾸고, 비닐 지퍼팩 대신 실리콘 지퍼백으로 바꾼 것 정도이다. 일회용품은 되도록이면 쓰지 않으려 노력하지만 잘되지 않고 있다.


하루 하나의 쓰레기를 제로로 만든다? 좋은데 하고 생각하며 책을 펼쳤다. 어려우려나 하고 읽기 시작한 책의 내용은 너무 쉽게 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아서 당혹스러웠다. 주방이나 냉장고, 수납장 등을 청소할 때 사용하는 다목적 세제는 알고 있는 내용이었지만 잠시 하다 말았던 방법이었다. 그런데 사용할 수 있는 곳이 알고 있던 것보다 더 다양하였다. 욕실과 변기는 물론 창문, 마룻바닥까지 사용 가능하였다. 시중 제품을 구입해서 사용하는데 혹시나 몸에 좋지 않은 성분이 남았었을까 꼼꼼히 오래 헹구어 내거나 닦아내는 편이었다. 만약 천연성분으로 한다면 안심하고 사용해도 될 것 같다. 식초로 만든 다목적 세제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제품은 사용을 하면 안 된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데 반려묘에 대한 내용도 있어 흥미로웠다. 수제 간식을 만드는 재료가 있어서 한번 만들어볼까 한다. 장난감은 이미 DIY 하고 있다. 그리고 배설물에 대한 내용이 나와 유심히 보았다. 고양이 배설물을 변기에 내래도 되는지 안되는지 논쟁이 있다고 한다. 고양이 배설물에 있는 톡소플라스마 기생충은 해양 동물을 감염시키고 죽인다고 한다. 두부 모래를 사용하고 있어 변기에 배설물을 버리고 있어 헉! 하였다. 하지만 톡소플라스마는 일주일 정도만 퍼지고 집에서 기르는 고양이는 조리된 사료나 가공된 사료만 먹기 때문에 이 기생충에 감염되는 것이 극히 낮다고 한다. 그리고 우리 집 고양이는 정기적으로 기생충 예방접종을 하고 있다.



저자는 20살에 유방암 공포증을 경험한 후 자신의 몸으로 들어오는 모든 것에 의문을 갖는다. 자신과 지구를 위해 더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해 마음먹은 이들을 위해서 웹사이트 고잉 제로 웨이스트(https://goingzerowaste.com)를 만들었다. 같은 이름의 인스타그램도 있다.


가장 끌려던 것은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 어제보다 오늘 더 나은 선택을 하자.'였다. 완벽하지 않아도, 실패해도 상관없다고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하고 있는 방법이 맞는지 정확한 제로 웨이스트가 먼지 헤매며 무거웠던 마음이 가벼워졌다. 책에 실린 101가지의 모든 방법을 다 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매일매일 책을 펼치고 하루에 한 가지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것이다. 1년은 365일이다. 그 모든 날에 하나씩만 따라해도 365번의 제로 웨이트를 실천하는 것이다.


제로 웨이스트나 미니멀라이프에 관심은 있으나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거나 실천방법 등이 궁금한 이들에게 강력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