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22 - 제 꿈 꾸세요
김멜라 외 지음 / 생각정거장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멜라 작가」는 2022년 13회 젊은 작가상 수상작품집으로 만났었다. 「저녁놀」도 독특하지만 따뜻한 느낌이 든다 생각했는데 「제 꿈을 꾸세요」도 그러했다. 저녁놀의 작가노트의 <웃게 해 줄 수 있다면의 연장 선상에서 떠난 이와 남은 이가 만나 좋은 꿈을 만들었으면 좋겠다>로 이어진다.


'메기의 추억'을 배울 때 친구들과 함께 메기?라고 하면 쿡쿡 웃었던 기억이 있다. '오 수재너'는 순간 무슨 노래였지 하며 멈칫했다. 분명 배웠을 노래이지만 기억에 없는 노래였다. 책을 읽는 내내 메기의 추억의 가사를 흥얼거리고 있었다. 챔바는 유쾌한 사람이었다. 죽음, 그중에 자살에 대한 이야기가 어둡지 않고 통통 튀는 밝고 경쾌함이 드는 것은 챔배 때문일 것이다. '나'의 상상력으로 다른 사람의 꿈으로 갈 수 있다. 혼자 죽어 언제 발견될지 모르는 자신을 발견해달라 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규희, 세모와의 꿈으로 가려 하며 여러 추억들을 떠올리다 결국 그들에게 가지 못한다.


'나'는 꿈으로 찾아갈 이를 결정했다. 챔바는 예기치 않게 '죽음'을 맞이했지만 다른 세계에서 '깨어나' 꼭 찾아가고픈 이의 곁으로 '나'를 데려가 준다. '길손'과 비슷하게 아파한 이가 '가이드'가 되어 꿈을 찾아가는 길을 안내한다. 저자는 이 소설이 그들이 건네는 인사라 한다. 누가 누구에게 건네는 인사를 말하는 것일까? '챔버'가 '나'에게 건네는 인사? '내'가 마지막으로 찾아간 사람에게 건네는 인사? 누구에게 하던 <좋은 꿈 꾸세요. 좋은 아침이에요.> 인사를 건넬 수 있는 이가 곁에 있는 것만으로도 큰 기쁨이다. 오늘 밤에는 자기 전에 「제 꿈꾸세요」하고 인사해 봐야겠다.


다른 우수작품상들도 모두 각가 나름의 색깔에 읽는 즐거움이 있었다. 김지연 작가의 『포기』는 만약 인생의 전부나 다름없었던 것을 포기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게 했다. 그리고 미루는 것에 대한 후회를 자주 하는 입장에서 아! 음... 슬그머니 책이 멀어졌다.


백수린 작가의 『아주 환한 날』은 <2022 김승옥 문학상 수상작품집>에도 실린 것을 인스타그램에서 보았다. 어떤 글이기에 두 문학상에서 우수상을 받았을까 궁금하였다. 어느 날 갑자기 가족이 된 고양이와 지금도 매일 전투를 벌이고 있는 나로서는 너무나 공감이 되는 글이었다. 고양이를 무서워했었던 나와 동물은 좋아하지만 키운 것에는 무척 반대했던 남편, 고양이를 데려오는 것에 혼자 반대했던 작은아들 모두 지금의 모습이 될 거라고는 생각지 못했었다. <사람들은 기어코 사랑에 빠졌다.>라는 작가의 문장이 너무나 이해가 되었다. 그 이후의 문장 또한...


<사랑>은 사람들을 비이상적이게 하기도 한다. 머리로는 「안돼! 」라고 소리치지만 마음은 전혀 반대 방향으로 가며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갈팡질팡하게 한다. 위수정 작가의 『아무도』의 '희진'의 상황이 지금 딱 이러하다. 눈에 보이는 상처는 희진의 손에 났지만 수형은 보이지 않는 곳에 아물지 않는 상처가 났으리라. 그 상처가 아물 수 있을까? 현실은 언젠가는 깨어나야 할 꿈처럼 아무리 벗어나려 해도 벗어날 수 없다. 숲 속의 잠자는 공주는 어떻게 100년이나 잠들어 있었을까? 하는 삼천포로 빠진 생각이 문득 들었다.


이주혜 작가의 『우리가 파주에 가면 꼭 날이 흐리지』는 <대어를 낚았다>로 시작하는 첫 문장이 인상 깊었다. <무엇이 자꾸 우리를 겁쟁이로 만들까? 우릴 자꾸 고립시키고, 왜 저러고 사나 싶게 만들고, 경멸하기 좋은 얼굴로 변모시키고, 끊임없는 자기 증명의 압박을 가하는 이 병의 이름은 무엇일까?>라는 글은 사람들과 부대끼며 살아가는 모든 곳에서의 고민이 아닐까 한다. 코로나라는 특수한 상황이 더 크고 세게 부닥치게 하며 큰 소리를 내게 하는 것이리라. 맑게 개인 파주에서 즐거웠던 모임의 결과는 흐림이 아닌 천둥번개가 되었다. 과연 햇볕이 드는 맑은 날로 되돌아갈 수 있을까?


『지난밤 내 꿈에』를 읽고 나서 문득 몇 해전 돌아가신 친정엄마가 생각났다. 엄마는 친정이 없었다. 아버지와 결혼 후 고향인 부산을 떠나온 후 연락이 끊어졌다고 하였다. 하지만 너무 어릴 때라 가물거리지만 유치원에 다니던 나와 2살 터울인 큰동생과 외갓집에서 하룻밤을 잔 기억이 있다. 예전 주소로 찾아가니 이사를 하여 물어물어 찾아갔었다. 무엇이 그리 그리웠을까? 지금 느끼는 이 그리움과 같을까? 궁금해졌다.


만약 매달 500만 원 여의 돈이 매달 생긴다면 무엇을 할까? 저축부터 할 것이다. 노후대비를 위해서. 그러나 몇십 년 전이었다면 어땠을까? 같은 선택을 했을까?


단편집은 한 호흡에 책을 읽기 좋다. 그러면서 장편 못지않은 다양한 의미들을 전달한다. 짧은 글안에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담는다는 것을 어려운 일이다. 한 해 최고의 문학적 성취를 이룬 작가에서 수여되는 이효석문학상 수상작은 엄격한 심사로 유명하다. 이효석 문학상 수상작품집 2022는 지금 우리가 가장 주목해야 할 작가와 작품들로 채워져 있다. 그들이 누구인지 작품의 내용을 더 깊이 알고 싶은 분들께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