뷔히너 전집 열린책들 세계문학 247
게오르그 뷔히너 지음, 박종대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뷔히너 전집

게오르크 뷔히너 지음 ㅣ 박종대 옮김 ㅣ 열린책들 펴냄


게오르크 뷔히너가 23세라는 젊은 나이에 죽음을 맞이하지 않았다면 그의 어떤 작품들을 더 볼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는 미완성작 보이체크의 결말을 어떻게 그렸을지 다른 작품들을 대입해 상상해 보려 해도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작가의 생각을 도저히 유추해 낼 수 없었다. 단 4편의 글로 독일 문학사의 끼친 영향력은 대단하다. 당시 '이상적인 인물들만' 원하고 다듬어진 문체만을 주를 이루던 독일문단에 결함이 있는 쾌락주의자 당통, 광인인 렌츠, 4계급의 보이체크등을 주인공으로 하였다. 또한 패쇄적인 닫힌 결말이 아닌 열린 결말의 개방적 형식의 글을 쓴다. 뷔히너가 살아있을때 출간된 단 한편인 당통의 죽음은 등장인물의 비속어와 작품의 구성이 엉성한 작품이라 비판을 받는다. 그러나 이 후 자신의 이름으로 수여되는 문학상이 생겨났으며 하인리히 뷜, 엘리아스 카네티, 귄터 그라스 등 노벨문학상 수상자들은 뷔히너 문학상의 수상 소감에서 모두 자신들의 작품이 뷔히너의 영향을 받았다 말했다.


그의 작품들은 많은 천재들이 그러하듯 그가 살아있을 때는 빛을 보지 못했다. 작가로서의 재능은 물론 의학에도 그의 천재성은 발휘된다. 만약 그가 더 오랜 시간 의학 분야를 연구했다면 어떤 일들이 생겨났을까 하는 궁금증과 함께 안타까움이 들었다.


당통의 죽음과 헤센 지방의 전령은 그 당시 독일 사회를 비판하면서도 그가 얼마나 독일을 사랑하는지 알 수 있었다. 프랑스 혁명의 이상을 가슴에 품은 그는 독일 사회의 봉건체제에 대한 혁명의 필요성과 혁명이 가야 할 방향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작품이 당통의 죽음이 아니었을까 생각 본다. 당시에도 검열이 심하여 일부 삭제되어 출간 되어야 할 정도로 정부의 감시가 심한 때에 정면으로 혁명에 대한 글을 쓸 수는 없었을 것이다. 삭제되어 출간된 작품이지만 <냉소적 적나라함과 감동적 진실이 돋보이는 피투성이 토르소>라는 평이 붙었다. 헤센 지방의 전령 또한 민중들에게 혁명의 필요성을 간절히 호소하기 위한 글이다. 만약 그가 자신의 조국인 독일을 사랑하지 않았다면 이러한 글들을 썼을까? 그의 짝사랑은 추방이라는 결과로 돌아와 도망자 신세가 되기도 한다.


이제는 자유의 집을 지어라.

뷔히너 전집 P321


뷔히너가 하고 싶었던 말은 이 한마디가 아니었을까? 『자유 』

천재적인 재능을 가졌으나 억압된 사회로 인해 자신의 날개를 활짝 펼치지 못하는 자신의 모습이 답답하였으리라. 그는 시대를 너무 앞서 태어난 것이 아닐까? 그가 조금만 늦은 시대를 살았다면 우리는 변화한 역사를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작품들에 대한 서평은 이미 앞의 서평들에 있어 적지 않았다. 단 4편뿐이지만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지금에도 작품이 추구하는 의식은 많의 생각을 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