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자식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04
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 지음, 연진희 옮김 / 민음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버지와 자식

이반 투르게네프 지음 ㅣ 연진희 옮김 ㅣ 민음사 펴냄


「아버지와 자식」의 작품 배경을 이해하려면 나폴레옹의 러시아 전쟁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파리까지 진격해 나폴레옹에게 승리한 러시아의 귀족 출신 장교들은 서유럽의 정치와 문화, 문명 등을 접하고 그동안 폭압적이고 무질서하고 독단적인 전제정치의 지배를 받아 왔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들은 러시아를 변화시키려 하였으나 실패한 후 전제정치에 환멸을 느끼고 무기력해진다.


1840년대 나폴레옹 전쟁과 혁명 등 격변의 러시아를 격은 20대 청년들이 시간이 흘러 아버지 세대가 된다. 그들이 니콜라이와 파벨이다. 서유럽의 자유주의 이념에 빠진 니콜라이는 푸시킨의 시를 읽고 첼로를 켜고 농노들을 해방시킨다. 파벨은 전형적이 귀족 장교의 모습으로 동생인 니콜라이의 집에 머물면서도 도시 귀족의 모습을 버리지 않는다. 니콜라이의 아들 아르카지가 그의 친구 바자로프와 함께 집으로 돌아온다. 바자로프는 과학과 이성에 부합하지 않는 모든 것을 거부하는 니힐리스트로 사회 변화에 기여하지 않는 예술도 거부하며 니콜라이와 파벨과 첨예한 갈등을 빚는다. 다른 시대를 살아온 가치관들이 부딪치며 파벨과 바자로프는 날선 논쟁을 벌이기도 한다.


부모와 지식의 세대갈등은 지금 현재도 진행형이다. 「라떼는」을 말하며 너희는 아무것도 몰라라는 자세를 고수하는 세대와 매분 매초 변화하는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 세대 간의 갈등의 골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는 것 같다. 평행선을 달리는 두 세대가 이해하는 순간은 없는 것일까? 왜 시간이 흘러 자신이 경멸하며 거부했던 아버지 세대가 되어서야 예전 부모가 했던 말들의 의미를 알게 되는 것일까? 평행선을 달리는 두 세대를 이어주는 것은 서로 간의 「이해」이다. 하지만 자신의 말만을 하는 두 세대에게 '서로 이해하세요'로 설득할 수 있었다면 세대갈등의 문제는 오래전에 해결되었을 것이다.


책을 마치고 가장 아쉬웠던 부분은 바자로프였다. 출간 당시에도 보수주의, 급진주의, 슬라브주의, 서구주의 등 모두 진영으로부터 격렬한 비판을 받으며 논쟁의 중심에 선다. 보수주의는 젊은 혁명가가 분명한 바자로프를 너무 이상적인 인물로 그렸다며 불만을 나타내고, 급진주의는 바자로프의 무절제하고 무례한 면들로 자신들을 회화했다고 비판했다. 이후 수많은 아류 작품들이 나온다. 체르니셉스키는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소설을 발표하면 투르게네프에게 반박했다. 이 소설을 통해 혁명가의 롤 모델을 제시한다. 도스토옙스키도 「아버지와 자식」을 겨냥해 「악령」을 발표한다. 이렇듯 수많은 아류 작품들이 계속 나온 것은 그 당시의 러시아에 던진 문제의식이 날카로웠기 때문이다.


이반 투르게네프는 도스토엡스키나 톨스토이에 가려 명성을 얻지는 못했지만 그의 작품들은 시사적이고 의식이 있는 작품들로 예리한 심리 묘사 등으로 호소력을 지니고 있다. 정밀하게 계산된 과장된 억제, 균형, 예술적 가치에 대한 고려 등으로 동시대 가장 유명한 대가들의 작품들 뚜렷이 구분되어 진다.


투르게네프는 「아버지와 자식」을 자신에게 큰 영향을 주었던 세상을 떠난 벨린스키에게 헌정했다. 문학은 삶과 문학의 통일성을 주장하며 진리와 탐구를 문학의 주요 과제 꼽으며 글을 쓴다는 것은 곧 진실을 증언하는 것이라며 벨린스키가 제기한 작가의 사회적 책임을 잊은 적이 없었다. 투르게네프의 작품은 지금도 억압된 현실과 저항하는 민중이 있는 곳에서는 자신들의 이야기로 느끼게 만드는 보편성이 있다. 과거인 아버지 세대와 지금 세대인 자식의 세대를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다.


작품 해설을 찾아보고 배경을 이해하고 작품에 담긴 의도와 생각 등을 알아가다 보면 생각의 깊이가 확장되는 것 같다. 고전문학은 각주 해설이 없다며 맥락을 알기가 어렵지만 마지막 책장을 덮고 나면 성취감이나 만족감과 함께 작가가 던진 질문들에 대한 답을 고민하게 되기도 한다. 책을 읽는 독자마다 찾은 해답은 각자 다를 것이다. 그 해답들이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