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빌딩 부자들 - 맨손으로 시작한 그들은 어떻게 빌딩부자가 되었을까
배준형 지음 / 라온북 / 2015년 6월
평점 :
대한민국에서 고층 건물들이 즐비한 강남
일대를 걷다 보면 문득 한가지 드는 생각이 있다. 하늘을 찌를듯한 저 빌딩들의 주인은
누굴까. 그들은 어떻게 해서 저런 빌딩을 소유할 수 있었을까. 나도 그들처럼 보란 듯이 빌딩 주인이 될 수 있을까. 이런저런 말 그대로 꿈에
부푼 상상의 나래를 펼치곤 한다. 최근 유행처럼 번지는 말이 있다. 번듯한 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한 대출과 세금 부담으로 실질적인 소득이
줄어드는 관계로 빈곤한 삶을 살아가는 이들을 가리키는 신조어인 '하우스 푸어'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내 집 마련은 인생의 목표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내 집 마련의 현실은 그리 녹록지가 않다. 이런 사회 현실 속에서 과연 평범한 내가 빌딩을 소유할 수 있다는 것은 나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얘기처럼 들린다. 그러나 이 세상엔 안되는 것이 없듯이 누구에게나 빌딩을 소유할 수 있는 기회는 열려있다. 그렇다면 평범한 우리가 강남의
빌딩 부자들처럼 될 수 있는 비법은 무엇일까.
부동산 투자 컨설팅 회사에서 빌딩 사업부
수석 팀장을 맡고 있는 저자는 오랜 기간 동안 수십에서 수백억 원대에 이르는 빌딩 사업을 해온 베테랑이다. 또, 해외 빌딩 사업을 통해
국제적인 감각뿐만 아니라 금융권 빌딩 사업부와의 연계로 수익률 높은 빌딩 투자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 그가 국내 내로라하는
빌딩 부자들을 면밀히 분석한 결과 그들이 어떻게 빌딩 부자가 되었는지 그 비법을 정리했다. 지금의 빌딩 부자들도 처음부터 부자가 아니었듯이
평범한 사람들도 그들의 비법을 참고삼아 공부하고 투자한다면 누구나 빌딩 부자가 될 수 있을 거라고 말한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빌딩 부자가 되는
비법은 과연 무엇인가. 저자가 말하는 빌딩 부자가 되는 비결은
크게 4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을 듯하다.
첫 번째, 빌딩 부자들을 벤치마킹 하라.
수십, 수백, 수천억 원대 빌딩 부자들의
투자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여 나에게 맞는 투자 유형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저자에 이르면 그 유형은 천하무적형,
주도면밀형 천하태평형, 불신지심형, 절대믿음형, 부화뇌동형 이렇게 6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두 번째, 빌딩 투자의 허와 실을
파악하라.
빌딩 투자뿐만 아니라 모든 투자에는 그
속에 도사리고 있는 실패로 가는 지름길과 함정을 면밀히 조사하여 그 길에 빠지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 여러 중요한 점들이 있겠지만 저자는 크게
6가지 사례로 정리를 하고 있다. 물권변동, 취득세 중과, 이행강제금 부과, 지구단위계획구역 상가임대차보호법, 상권의 변동 등이 그것이다.
세 번째, 투자한 빌딩의 가치를
높여라.
투자만 해놓고서 알아서 빌딩의 가치가 올라
수익을 볼 수 있겠지 방관하는 듯한 자세는 실패로 가는 지름길이다. 지속적인 관리와 투자가 뒤따라야 함은 불을 보듯 뻔하다. 저자는 빌딩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6가지를 제시한다. 리모델링, 신축, 원룸형 다가구주택 임대업, 비즈니스호텔, 벨류업, 수익형 모델이
그것이다.
네 번째, 빌딩 투자, 트렌드를
따라가라.
과거 높은 수익률을 올리던 빌딩도 시대의
변화에 뒤처진 채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면 금세 수익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 트렌드를 선도하는 지역은 어디이며 그곳에서 높을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것에 투자해야 한다. 저자는 우리나라 트렌드를 선도하는 지역으로 6개 지역을 꼽는다. 대한민국 젊음의 메카 홍대,
이태원, 지하철 9호선 황금라인, 명동상권, 신사동 가로수길 그리고 강남이 바로 그곳이다.
자산을 늘리기 위한 투자가 모두
그렇겠지만 어느 하나 쉽게 누워서 떡 먹기식은 없는 듯하다. 부란 알면 알수록 많이 얻을 수 있는 것임에 틀림없다. 강남 일대의 빌딩의 주인이
될 수 있다는 말이 이제 아주 먼 얘기처럼 들리지는 않는다. 물론, 당장 내가 빌딩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은 아니지만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만으로도 큰 수확이 아닐까 싶다. 빌딩 투자라는 것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고 좀 더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은 미약하나마 빌딩
투자에 공부를 하고 관련 사회적인 이슈들을 지켜보는 수준에 불과할지라도 꾸준히 한다면 그만큼의 성과가 분명히 주어지리라 믿는다. 조금만 관심을
갖고 기울인다면 좋은 재테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