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날 영혜는 '채식'을 선언한다. 그것은 밥상머리에서 '나 내일부터 술 끊을거야'라거나, '내일부터는 좀 열심히 살아야겠어.' 같은 방식으로 하는 가벼운 말이 아니었다. 남편은 어느 새벽에 냉장고 앞에 우두커니 서 있는 영혜를 발견한다. 다음날 영혜는 냉장고의 고기를 모두 버리고 채식을 선언한다. 그저 한 순간의 바람일 것이라고 생각했던 채식이 길어지자 부모님까지 나서서 그녀를 말리려고 한다. 언니네 집들이에 온가족이 모인 자리에서 그녀의 아버지는 고기를 먹으라고 입을 강제로 벌리다 뜻대로 안되자 뺨을 때린다. 영혜는 아버지의 손아귀를 벗어나 과도로 자신의 손목을 긋는다. 몇일이 지나고 치료가 어느정도 된 영혜는 병원 벤치에서 상의를 벗고 햇볕에서 자신의 상처를 핥고 있다. 남편은 생각한다. 


'나는 저 여자를 모른다.'


두번째 연작에서는 화자가 영혜의 형부로 바뀐다. 비디오 작가인 그는 예술가들이 으레 그렇듯 자신도 모르는 예술적 허기의 근원을 찾으려 노력중이다. 우연히 부인에게 처제(영혜)의 몸에 남아 있는 '몽고반점' 이야기를 듣고 묘한 욕정을 느낀다. 그것은 단순한 성적 욕망이라기 보단 순수를 향해 무작정 덤벼드는 예술혼 같은 것이었다. 몽고반점은 어린시절에 있다가 나이가 들면서 거의 대부분 사라진다. 우리가 세상에 영합하면서 순수함이 바래지듯이 몽고반점도 색을 잃는다. 그것을 간직하는 그녀를 그는 생각한다. 그녀의 몸에 물감으로 꽃을 그리고 그것을 원래의 자리에 돌려 놓듯 태초의 모습으로 환원시킨다. 그리고 그 마지막 완성을 위해 자신도 몸에 꽃을 그리고 그녀와 교합한다. 그것은 조금도 에로틱하지 않은 예술의 완성,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그러나 그의 부인에게는 그렇지가 못했다.


'이건 말이야.... 어쩌면 꿈인지 몰라.'


언니 인혜는 생각한다. 왜 아버지가 영혜에게 고기를 억지로 먹이려 했을 때 적극적으로 말리지 못했을까. 왜 내 동생은 갑자기 미치고 말았을까. 왜 아무것도 먹지 않은 채 죽으려고 하는 것일까. 저렇게 불쌍한 아이에게 내 남편이란 인간은 어떻게 그런짓을 한 것일까. 의문은 그치지 않는다. 마지막 화자로 인혜가 등장하는 이유다. 그녀는 소설에서 가장 많은 의문을 품은 채 어려운 것에 대해서는 침묵한 채 역할에 충실한 인물이다. 그리고 그녀는 과거를 생각한다. 동생이 개에게 물렸던 날, 먹고 싶지 않은 개고기를 먹어야 했던 동생의 모습, 여전히 자라서도 아버지의 폭력에서 자유롭지 못한 존재, 자기 몸을 상하게 하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할 수 없어 미쳐버린 동생. 아빠를 강하게 말리지도, 그렇다고 집을 뛰쳐나가지도 못했던 그녀는 사실 그 고통을 동생이 받아내는 것을 방임하며 그 뒤에 숨어 있었다.


'기껏 해칠 수 있는 건 네 몸이지. 네 뜻대로 할 수 있는 유일한 게 그거지. 

그런데 그것도 마음대로 되지 않지.'


아버지의 폭력과 육식에 대한 공포는 영혜의 삶에서 한 순간도 사라지지 않고 표출의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어느날 꾼 악몽을 계기로 영혜의 심연에 숨겨 있던 분노가 일시에 표출되었고, 그 시작은 '채식'의 선택이었다. 채식은 단순히 고기를 먹지 않겠다는 의미를 넘어, '그래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에 대한 거부였다. 당연히 그런 선택은 억압하려는 주변의 폭력을 마주할 수밖에 없다. 그때 그들이 선택하는 방법은 오직 스스로를 공격하는 것 뿐이다. 그것이 초식동물이 살아남는 법이다. 오직 스스로에게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하는 것, 그것이 극에 달해 자해하는 방식으로 고통의 정도를 표현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영혜는 마침내 내장이 쪼그라들어 편하게 나무가 되는 편을 택했다. 아무것도 먹지 않다 보면 어느 순간 물만 먹고 광합성만 하면 되는 나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것조차 맘대로 하지 못하는 영혜를 지켜보던 언니는 자신이 영혜를 위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것이 또다른 방식의 폭력이었음을 생각한다. 


'꿈속에선, 꿈이 전부인 것 같잖아. 하지만 깨고 나면 그게 전부가 아니란 걸 알지.

그러니까, 언젠가 우리가 깨어나면, 그때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