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스크로 가는 기차 (양장)
프리츠 오르트만 지음, 안병률 옮김, 최규석 그림 / 북인더갭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이 원한 것이 곧 그의 운명이고, 운명은 곧 그 사람이 원한 것이랍니다... 그 모든 순간마다 당신은 당신의 운명을 선택한 것이지요. (p.61)


'나'는 어렸을 적 아버지가 무릎에 앉히고 해주시던 '곰스크'에 대한 '환상'을 품고 살아가는 사람이다. 비록 지금은 어린시절 꾸었던 곰스크에 대한 희망은 잊어버렸지만, 그에 대한 열정은 남아서 언젠가 내 삶의 클라이막스에 곰스크로 가는 기차에 도착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런데 뜻밖의 방해자가 생긴다. 결혼 직후 곰스크로 가는 기차에 올랐을 때까지도 몰랐지만 사실 아내는 전혀 즐거워 하는 기색이 없다. 오히려 '모든 것에서 멀어져 간다'며 창백한 얼굴을 할 뿐이다. 여행 둘째 날 두시간 가량 정차하는 기차에서 내려 마을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다 급기야 산 너머까지 간 부부는 결국 기차를 놓친다. 


'곰스크'가 환상이 되어 사라지는 순간이다. '나'는 더할 수 없이 초조해진다. 내 평생의 꿈이, 다른 노력도 아니고 단순히 기차에 앉아서 시간만 지나면 이루어지기 직전인데 마을에 머물고 있다니. 주인공의 초조함은 극에 달하고 어떻게든 작은 마을을 벗어나 기차에 오르고 싶지만 곰스크행은 정해진 시간도 없고 오지 않을 때가 더 많다. 더구나 부인은 낡은 식당에서 머물러 살 것처럼 일을 도우며 정착하려고 한다. '나'는 그녀의 느긋한 모습에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 


이야기가 어떻게 흘러가든 그것은 결국 가시적인 '성과'를 내어야만 한다는 나의 믿음은 항상 소설에서는 배신당했다. 특히 이 소설에서 부인은 참을 수 없이 게을렀으며, 믿을 수 없을만큼 의욕이 없었다. 눈앞의 어떤 것을 보고도 그것은 자기의 몫이 아닌양 그냥 굴려 보냈고, 남편이 그것을 좇는 것마저 허락하지 않는다. 우리는 그것이 잘못된 것이라고 가르치는 세상에서 살고 있다. 경쟁에서는 이겨야 하고, 목표는 반드시 성취하는 것이 성공이며, 안주하는 것은 도태를 자초한다고 말이다. 처음에는 그것도 그런대로 괜찮은 듯 보였다. 자주는 아니지만 종종 경쟁에서 이기기도 하고, 나름의 목표도 달성하고, 남들보단 나은 것처럼 보여서 우쭐할 때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하나의 결과물은 더 큰 목표를 끌고 들어오고, 그 목표는 달성되자마자 새로운 경쟁으로 우리를 이끈다.    


아내 역시 우리가 언젠가는 곰스크로 가게 될 것임을 인정했다. 하지만 그곳이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그녀에게는 어떤 느낌이나 희망, 걱정으로 다가오지 않는 것 같았다. 마치 젊은 사람이 죽음에 관해 생각하는 것처럼. (p. 34)


부인이 원하는 것은 곰스크 같은 환상, 혹은 꿈이 아니라 지금 여기, 바로 우리집 정원에서 새로 태어난 아기와 아빠가 함께 노는 것이다. 평생 곰스크행 열차에 타서 목적지가 다가오기만 기다리는 초조한 삶이 아니라, 눈에 보이는 행복, 손에 잡히는 현실을 공유하자는 말이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라는 책에는 '안헤도니아'라는 병명이 등장한다. 평생 꿈으로 생각하던 것이 현실로 이뤄졌을 때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이를 잃을지도 모르는 공포에서 나오는 병의 이름이다. 

 

행복에 문제가 있다면 그것은 행복이 워낙 희귀하기 때문에 눈앞에 다가오면 무시무시하고 불안해서 받아들이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우리가 행복을 대하는 태도는 대략 그러하다. 가까운 것들과 손에 잡히는 것들을 일단 제외하고 나면 우리는 그제서야 마음이 편해지는 것이다. 급기야 내가 속한 원 밖의 무언가를 추구하는 삶은 그럴듯 해진다. 왠지 더 의미있어 보이고 당장 눈앞의 기쁨이나 슬픔에 대해 의연해도 되는 변명거리를 만들어준다. 그리고 우리는 사람들에게 평생 이런 대답을 되풀이 한다. 


"나? 응 미안. 나 곰스크로 가야해서 좀 바쁘거든. 다음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