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를 설득시키거나 내 뜻을 주장하기 너무 터무니 없다고 느껴질 때, 어떤 일이 달성되기에는 너무 막연할 때, 내가 떠올리는 두 이야기가 있다.














5.18 시위대에 참여하려는 진수에게 태수(최민수)가 설사 너가 가더라도 독재는 끝나지 않을 것이라면서 말린다. 그 때 진수는 이렇게 대답한다.

 

"워츠케하냐고라. 참말로 몰라서 묻는것이요?

고로케하면 안된다고 말해야지라.

그 총이 무신 총이냐. 우리가 세금내서 산 총이다.

우리가 누구냐. 국민이다. 국민한테 고로케하면 안된다고 보여줘야지라.

가만 놔두면 고자식들이 또 그럴게 아니요.

요로코롬 해두 되는구나 할거 아니요이 나 말이 틀렸소? "

 

-------------------------------------------------------------------------

 

우리는 자주, 그리고 쉽게 뭔가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포기하고 그에 대한 최소한의 저항조차 포기한다. 하지만, 하다 못해 악이라도 쓰지 않는다면 가해자는 그것이 잘못된 것이라는 사실조차 깨닫지 못한다. 어짜피 지금 상황은 바뀔 수 없겠지만 최소한 가해자가 죄책감을 가지게는 해야한다. 그것은 나를 위한 것이 아니고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저항이다. 

 

-------------------------------------------------------------------------

 

 

한 노인이 바닷가를 걸으면서 밀물에 밀려온 조개를 하나씩 바다로 던져 주고 있었다. 지나가던 한 사람이 궁금해서 물었다.

 

"어르신, 지금 나와 있는 조개가 수 천개가 되는데 그거 하나씩 던져 준다고 무슨 큰 의미가 있겠습니까?"

 

노인이 답했다.

 

"물론 나한테는 수 천개 중에 하나일 뿐이지만,

 저 조개에게는 그렇지 않겠지요."

 

 

----------------------------------------------------------------------------

 

 

답을 알 수 없는 문제에 봉착했을 때, 어떤 일이 한없이 사소하게만 느껴질 때 나는 이 이야기를 떠올린다. 비록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지극히 사소하지만 누군가에게는 생명을 다툴만큼 절박한 어떤 것일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한다. 나를 벗어나면 답은 쉽게 찾아지는 경우가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