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회에 대해 궁금한 몇 가지
크리스티아네 테빙켈 지음, 함수옥 옮김, 라텔슈네크 삽화, 이용숙 감수 / 열대림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래식 음악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정작 부담스러워하는 것은 음악보다 음악을 둘러싼 관습이다. 음악 감상이야 자신의 귀에 의지해 들으면 된다지만, 대체 음악회에 갈 때 옷은 어떻게 입어야 하고 박수는 언제 칠 것이며, 동곡의 수많은 음반들 가운데 무엇을 골라야 한단 말인가. 그리고 악기 연주는 고사하고 악보도 볼 줄 모르는데 과연 클래식 음악을 듣는 것이 가능하기나 한 것일까.

<음악회에 대해 궁금한 몇 가지>는 바로 이런 질문을 가진 사람들을 겨냥한 책이라는 점에서 발상이 돋보인다. 클래식 음악은 규범이 까다롭기로 유명하지만 이런 규범은 사실 19세기부터 발전된 문화의 유물이다. 그리고 초보자들을 위압하는 각종 음악 이론과 분석에 대해 말하자면, 먼저 실제가 있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추후에 이론이 개발된 것이지 그것이 청체험에 선행하는 것은 아니다. 클래식 음악 문화를 역사적으로 찬찬히 설명함으로써 초보자들이 부담 없이 클래식 음악에 발을 들이도록 도와준다는 점이 바로 책의 강점이다.

하지만 좋은 발상만으로 책의 퀄리티가 보증되는 것은 아니다. 초보적인 질문을 다루는 책이라도 어떻게 내용을 채우는가에 따라 수준 높은 통찰력을 담아낼 수 있는데 이 책은 정작 흥미로운 지점 앞에서 논의를 멈추고 만다. 지휘자의 역할을 설명하면서도 클래식 음악의 독특한 본질을 짚어낼 수 있고, 작곡 과정에서 피아노가 갖는 역할을 설명하면서 무궁무진한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다. 한데 이 책은 적당한 수준에서 논의를 서둘러 끝낸다. 한 번 읽고나면 다시 들쳐볼 일이 없는 내용이다.

책의 후반부로 가면 음악 관습을 넘어 음악 자체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음악 형식, 화성, 즉흥성 같은 논의를 담고 있는데, 이를 얄팍하게 설명하느니 차라리 처음의 기획대로 음악 관습의 논의를 끝까지 밀고나갔으면 더 나았을 것 같다. 예컨대 우리가 음악을 접하는 경로가 음악회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음반점에서 음반 고르는 법을 설명하면서 레코딩에 관한 이야기를 곁들이는 것도 좋고, 그 밖에 라디오 중계, 크로스오버 현상, 편곡의 세계 등 초보자들이 궁금해 할 내용은 끝없이 이어진다. 이 책은 역설적으로 초보자들을 만족시키는 책을 쓰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여실히 보여주는 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