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골드
아이작 아시모프 지음 / 한뜻 / 1996년 10월
평점 :
품절
그의 책을 몇 권 읽지 않은 내가 이런 표현을 쓸 자격이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아시모프의 글은 한결같다. 늘 고른 수준의 만족감을 주는 그의 글은 과학소설로서 모든 것을 보여준다. 참신한 아이디어와 과학적으로 충실한 묘사, 그리고 군더더기 없이 간결한 문체와 속도감 넘치는 전개는 독자들을 배려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몇 달 전 비상업적인 루트로 입수한 아시모프의 단편집 <골드>를 오랜만에 꺼내들었다. 1부는 초기 단편들을 싣고 있고 2부는 유고집에 수록된 작품을 모아둔 것이라는데, 역자 후기를 읽어보니 1941년에 발표된 단편부터 70년대, 80년대 작품들도 들어 있어서 사실상 아시모프의 모든 시대를 커버하고 있다.
로봇이 일상화된 세상을 다룬 글, 외계와의 조우의 다룬 글, 특히 글쓰기에 관한 저자의 의식을 반영한 글이 인상적이다. "로봇이 인간을 대체할 수 있을까" 하는 고전적인 물음을 풀어나가는 수단으로 창조성을 대표하는 글쓰기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교정보는 로봇'에는 노동의 즐거움을 위협하는 로봇에 위기감을 느끼는 교수가 등장하고, '칼'은 글쓰기에 대한 욕망을 참지 못하는 로봇과 그에 대해 경계심을 갖는 주인의 이야기다. 이번 단편들을 읽으면서, "로봇이 일상화된 미래 사회에서 과연 로봇이 인간과 조화를 이루며 살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 대해 아시모프가 비관적인 답을 가졌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그의 로봇 공학 3원칙은 바로 이런 파국을 막기 위한 대비책으로 보이며, 이 원칙이 무너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그의 단편에 묘한 긴장감을 부여하는 것 같다.
아무튼 과학소설에 하나의 기준을 마련해준 그의 소설이 이렇게 오랫동안 절판 상태로 머물러 있는 것은 아쉬운 일이다. 아무래도 인간성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는 아시모프보다는 악몽 같은 디스토피아를 즐겨 묘사했던 필립 딕이 훨씬 트렌디하겠지만, 도라에몽 같은 아시모프의 착한 로봇 이야기를 읽지 못한다면 세상은 참으로 삭막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