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디 스내처 - 이색작가총서 1
잭 피니 지음, 강수백 옮김 / 너머 / 2004년 8월
평점 :
절판
스포일러를 알아버린 스릴러 영화를 보는 기분이 이럴까. 이 역사적인 고전 SF는 등골을 오싹하게 만드는 긴장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물론 신체 내부에 침투한 강탈자 외계인이라는 아이디어가 더 이상 신선하지 않은 탓도 있겠다. 그렇다고 꼭 시대적인 이유만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등장인물들이 나누는 점잖은 말투의 대화는 긴박한 상황을 헤쳐가기 위한 절박함과 거리가 멀다. 오히려 제3자에게 정황을 찬찬히 설명하는 투에 가까운데, 의도적이 아니라면 단정하고 깔끔하고 안정감 있는 문체가 여기서는 단점으로 작용한다. (미지의 공포를 전하기 위해 러브크래프트가 구사했던 문체와 비교해 보라.)
이 소설을 좀더 흥미롭게 읽는 방법은 외계인의 존재를 소설의 초반부에 언급되었듯이 전적인 심리적 망상으로 치환하는 것이다. 갑자기 모든 것이 낯설게 느껴지면서 익숙하던 것을 의심하게 되는 상황은 여전히 섬뜩함을 자아내며, 그것이 집단 최면이나 인종주의와 결부된다면 사회 비판적 텍스트로도 힘을 발휘한다. (중소도시의 따분한 일상에 대한 언술로 보기에는 주인공의 사회 생활이 너무 건전하다.) 한편 외계인의 본성이 의외로 평화적임이 드러나면서 자발적으로 지구를 떠나는 설정은 전염병으로 상황 종료를 맞는 <우주 전쟁>처럼 맥빠지는 것이 아닐 수 없다. 생존을 위해 그토록 먼 우주를 건너온 생명이 보이는 삶의 의지가 그 정도밖에 안 되었던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