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ㅣ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김영하는 줄기차게 동시대성을 추구하면서도 작가 내면의 독특한 개성을 유지하는 소설가로 보인다. 그의 소설은 마치 좁은 가판대에 들어앉아 뻐끔한 눈으로 세상을 요리조리 관찰하는, 혹은 단칸방에서 컴퓨터 스크린을 통해 속세의 이야기를 수집하는 사람을 연상시킨다. 온갖 세상의 시시껄렁하고 비루한 일상을 바라보는 그의 시선은, 그러나 감정이 거세되어 있어 냉소적이고 무심하게 보인다. 짧은 호흡으로 이어진 문장 구조,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서사 양식, 절정에서 멈춰버리는 어정쩡한 결말이 이런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요소인 것 같다.
모든 수록 작품이 일관되게 빼어난 수준을 유지하는 단편집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이 책 또한 단편들 간의 편차가 제법 된다.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은 역시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이다. 첫 단추를 잘못 낀 탓에 이상한 일들이 연속적으로 벌어지는 하루를 담고 있는데, 사건의 연속을 구성하는 호흡이 TV 단막극을 닮았다. '당신의 나무'는 우연의 연속을 정반대 방향에서 접근하고 있다. 시간적, 공간적 연속성을 해체해 조각을 재구성하는 소설로 우연을 필연으로 끼워 맞추는 상상력이 돋보인다(그런데 딱히 끌리는 소설은 아니다). 그의 매력은 역시 재기발랄한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에 있다. 황당무계한 고백을 담은 액자 소설 형식의 '흡혈귀'와 전격(電擊) 여행을 준비하는 동호회의 기이한 이야기 '피뢰침'이 특히 인상적이었다.
그런데 솔직히 고백하자면, 기대치를 충분히 만족시키는 수준은 아니다. 그런 점에서 가장 흥미롭게 읽었던 글은 뒤편에 수록된 해설이었다. 동일한 텍스트를 읽고도 이렇게 심오한 의미를 끌어낼 수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