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노 요코 - 마녀에서 예술가로
클라우스 휘브너 지음, 장혜경 옮김 / 솔출판사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그저께 불편한 몸을 이끌고 마지막이 될지도 모를 작품을 뉴욕에서 발표한 백남준의 모습을 텔레비전으로 지켜보면서 말로 표현하기 힘든 숭고한 아름다움을 느꼈다. 그것은 단순히 그의 작품 세계에 공감하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창조의 의지, 창조의 행위 자체가 주는 경외감 같은 것이었다. 자신이 만든 무엇으로 세상에 의미 있는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그 얼마나 멋진 인생인가.
클라우스 휘브너의 <오노 요코>에서도 비슷한 감흥을 느꼈다. 특히 요코의 경우는 훨씬 더 극적인 드라마가 기다리고 있다. 만인의 스타의 아내이자 부유한 아시아 여성으로서 겪어야 했던 편견을 극복하는 드라마가, 세상으로부터 철저하게 외면 받은 예술가가 결국 세상이 자신의 예술을 이해하도록 굴복시킨 드라마가, 평화와 자유를 사랑한 한 영혼이 시대에 개입하고 세상을 바꾼 드라마가 펼쳐지는 것이다. 하지만 책은 이런 극적인 면을 자제하고 그녀의 예술에 초점을 맞춰 차분하게 서술한다.
20세기 중반 뉴욕의 플럭서스 운동은 현대 미술이 테크닉에서 아이디어를 거쳐 이제 행동으로 무대를 옮겼음을 보여주는 조류였다. 이제 예술은 세상과 유리된 채 미술관의 프레임 속에 갇힌 대상이 아니라 사람들로 하여금 작품 속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세상을 달리 바라볼 수 있게 하는 자극제가 된다. 이 책을 빼곡이 메우고 있는 도판들과 행동 지침들을 보면 오노 요코가 얼마나 시대를 앞서 간 명철한 지성의 소유자였는지를 알 수 있다. 세상의 편견과 맞선 그녀의 삶이 그대로 예술에 반영되는 순간이다. 물론 그녀는 조형 미술만이 아니라 영화와 음악에서도 부단한 창조적 걸음을 내디딘 전방위적 예술가였고, 또 사업에도 특출한 재능을 발휘한 인물이었다. 왜 사람들이 그토록 그녀에게 반감을 가졌는지가 자연스럽게 이해된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도저히 그녀를 사랑하지 않을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