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 1 - 풍월당 주인 박종호의 음악이야기 ㅣ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 1
박종호 지음 / 시공사 / 2004년 6월
평점 :
품절
클래식 음악에 관한 실용적인 가이드는 딱 두 종류다. 명곡들을 구조적으로 설명하는 사전 형식의 곡목해설집과 필자의 주관적인 감정을 담은 에세이. 곡목해설집은 레퍼런스로서는 쓸모가 있지만 책으로서 읽는 재미는 없으며, 에세이는 정작 음악 이야기는 별로 없고 필자 개인의 추억과 감상이 주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곡목해설집은 음악 속에 무엇이 있는지는 말해주지만 우리가 실제로 음악을 경험하는 바와는 거리가 있으며, 에세이는 필자의 음악적 경험은 있지만 그것이 음악 구조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는 말하지 않는다. 문제는 이 둘 사이에 깊고 아득한 심연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이다. 왜 음악을 직접 상대하면서도 책 읽는 재미를 만끽하게 해주는 책은 없는 것일까. 왜 음악 형식과 경험이 어떤 식으로 매개되는지를 솔직하게 고백하는 책은 없는 것일까.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 역시 전형적인 음악 에세이 구성을 따른다. 음악에 관한 서술은 형용사와 비유 몇 개를 사용하여 대충 넘어가고, 주로 곡에 관한 부수적인 정보, 음반에 관한 정보, 곡 또는 연주와 관련된 장소를 찾아가는 여정이 글의 중심을 이루는 것이다. 그래서 과연 이 사람은 이 곡의 어떤 점에 마음이 끌려 사랑에 빠지게 되었을까 하는 의문은 여기서도 답을 찾지 못한다. 이런 점에서는 진회숙의 <클래식 오딧세이>가 한발 앞선다. 음악 전공자답게 곡에 대한 경험을 활자로 풀어쓰려는 노력이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필자의 주관적인 감상과 후일담이 지나치게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에서는 <클래식 오딧세이> 또한 마찬가지며, 더욱이 전공자로서 갖는 자부심이 지나쳐 종종 독서를 불편하게 하는 점이 많았다. 꽤 유용하게 읽었으면서도 얼굴을 찡그리고 봤던 기억이 난다.
사실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은 음악에 관한 책이라기보다는 음반에 관한 책이며 음악을 사랑하는 한 사람에 관한 책이다. 펭귄가이드를 볼 요량이 아니라면 무슨 음반을 살까 망설이는 사람이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가이드이며, 음악을 주제로 한 유럽 여행을 계획하는 사람에게도 꼭 필요한 동반자이다. 그러니 이런 책에 위와 같은 불평은 적절치 못한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제는 음악 앞에서 감상적으로 되지 않으면서도 흥미롭게 이야기를 풀어내는 책을, 음악과 필자가 일대일로 당당하게 맞서는 그런 책을 만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