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지카 프라티카 ㅣ 동문선 문예신서 157
마이클 캐넌 지음, 김혜중 옮김 / 동문선 / 2001년 2월
평점 :
지난 20여 년 동안 서양의 음악학은 다른 인문학적 조류에 발맞춰 변화를 모색해왔다. 한 마디로 말해 소수의 '위대한' 작곡가들 중심의 전통과 그에 바탕을 둔 경직된 이론적 접근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인데, 그런 과정에서 그간 억눌려있던 여러 목소리들이 분출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 주변부로 밀려난 음악을 재평가하고(대표적으로 초기 음악 운동) 대중 음악을 포괄적인 음악사 흐름에 끌어들이는가 하면, 연주나 악기, 심지어 음반을 중심으로 역사를 구성하기도 한다. 문화 연구에 영향을 받아 사회학적,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음악사를 해석하는 작업도 있었고, 음악 전통의 산업적 물질적 경제적 토대를 검토하는 작업도 이어졌다. 영국의 마이클 캐넌의 <무지카 프라티카>는 이런 새로운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저술로 꼽힌다.
이 책은 서양 음악의 역사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익숙한 작곡가들의 이름과 레퍼토리보다 오히려 사상가, 기호학자, 사회학자--베버, 벤야민, 바흐친, 바르트, 에코, 아탈리, 사이드, 제임슨 등--의 이름이 비중 있게 등장한다. 음악적 스타일의 변화보다는 악기 발명과 그 메커니즘의 발전이 더 중요하게 다뤄진다. 시대의 변화에서 중요하게 간주되는 힘은 기보법과 인쇄술의 발전, 패트런의 변화, 콘서트홀과 대중 시장의 성장이다. 그래서 축음기와 녹음 장비, 전자 악기 등 테크놀로지가 음악 문화의 패러다임을 지배하게 된 20세기를 논의하면서 재즈와 록 같은 대중 음악에 일정 부분을 할애한 것은 자연스럽다.
<무지카 프라티카>는 우리가 알고 있는 실제적인 음악 활동 이면에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지를 보여주는 책이다. 그런 활동들을 가능하게 한 사회적 관습과 시대적 조건의 변화들을 통해 기존의 음악사를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볼 수 있게 해준다. 그렇다고 만만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다. 원문 자체가 딱딱한 이론서의 틀에 갇혀있는 데다가 번역을 거치면서 가중되는 어려움이 독서를 힘들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각주가 전혀 없어서 웬만큼 기초적인 음악 지식이 없으면 소화하기 어려운 점들이 많다. 하지만 이런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공들여 있을 만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