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놀자 > 책읽는 습관이 저절로 생기는 방

아이방은 벽지의 색깔보다 책 읽기 좋은지가 우선이다. 책 읽어라 읽어라 하는 것보다 책을 읽고 싶도록 꾸며주고 책에 대한 관심을 함께 나누는 엄마의 지혜가 책 읽는 습관 들이기의 첫째 작전이기 때문이다.

책 읽는 게 생활화돼 있는 집은 서재에 대한 대접(?)이 대단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멋진 인테리어와 고급스러운 가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의 중심 공간에 서재와 책장이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아이방도 마찬가지. 키 큰 책장에 장난감과 책이 함께 꽂혀 있다면 책 좋아하는 아이가 되길 기대하긴 힘들다.



제일 중요한 포인트는 장난감과 책을 구별하는 것. 아이가 둘이라면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방을 따로 주는 것보다 놀이방과 침실로 나눠서 둘이 함께 쓰게 하는 것이 좋다. 장난감과 책이 한 방에 특히 한 책장에 꽂혀 있다면 책은 가장 적게 사용하는 장난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방이 하나라면? 장난감을 두는 공간과 책장 공간을 나눠주는 것이 좋다. 앉아서 책을 보는 공간에서, 장난감이 눈에 들어와 한눈팔지 않게 배치해야 한다.


가장 좋은 책장 배치는 ㄷ자형. ㄷ자의 가운데는 쿠션이나 매트, 방석, 앉은뱅이 책상을 놓아 책 읽기에 몰두할 수 있도록 돕는 공간이어야 한다. 그 다음은 =형. 사진처럼 벽에 책 읽는 공간을 두고 양쪽에 책을 놓으면 아늑한 책 읽기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다음은 ㄴ자형, -자형. 주의해야 할 점은 이 공간에 앉았을 때 장난감이 시야에 들어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음은 책장. 높이는 아이 키에 맞춘다. 아이가 손을 뻗어서 제일 위쪽 칸의 책을 손쉽게 꺼낼 수 있을 정도여야 한다. 특히 취학 전 아이라면 높은 책장을 기어올라가는 안전사고의 위험까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 두 가지가 갖춰졌다면 책 읽을 공간을 만들어줄 차례. 아직 책 읽는 습관이 잡히지 않은 아이라면 책상이 있다고 해도 책상은 공부하는(싫어하는) 공간일 수 있으므로 따로 아늑한 읽기 공간을 만드는 것이 좋다.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로 만든 방석, 쿠션 하나여도 좋다.




마지막으로 책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는 것이다. 책을 함께 읽는 것은 물론 매달 또는 계절마다 한 번씩 책의 위치를 바꾸는 재미를 함께 누려보자. 봄에는 출판사별로, 여름에는 주제별로, 가을에는 책의 키에 맞춰서.
 
1. 장난감과 책은 한 방에 놓지 않는 것이 최선, 한 방에 둘 수밖에 없다면 최대한 장난감과는 멀리 분리해두어야 하는 것이 포인트.
2. 한달에 한 번 정도 엄마와 함께 책 정리하는 방법을 바꿔보자. 출판사별로, 주인공별로, 주제별로.
3. 책장도 아이 키에 맞춰야 한다. 아이가 섰을 때 제일 위쪽 칸의 책을 쉽게 꺼낼 수 있어야 한다.
4. 가장 좋은 책장 배치는 ㄷ자형. 가운데에 책 읽는 공간을 만들어주면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RINY 2004-08-28 0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장 좋은 책장 배치는 ㄷ자형. 가운데에 책 읽는 공간을 만들어주면 된다 => 끄덕끄덕.

BRINY 2004-08-28 2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흠, 그쵸? Kel님? 오늘 그 흉내를 내 볼까하고, 4만원짜리 책장을 하나 사서 책정리를 좀 했습니다. 작은 방의 한쪽은 책장, 다른 한쪽은 책상과 컴퓨터 주변기기 책상이 늘어서게 하고, 그 사이에서 책을 읽어볼까하구요.책장을 배달해 준 아저씨가 쓱 보시더니, '원래 있던 책장(검정)하고 색이 안맞잖아'하시고 가셨지만, 4만원에 5단책장을 배달까지 해주다니, 싸지 않습니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