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심 - 상 - 파리의 조선 궁녀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엔 3권이라는 분량의 압박이 있었으나, 읽다보면 어느새 한권,두권, 세권 책장을 넘기는게 아쉬울 정도로 푹 빠져들었다. 솔직히, 처음엔 리심이란 여인이 있었는지 알지도 못했었다. 그러나, 파리의 조선궁녀라 하여 조선궁녀가 파리에 갔었나? 하는 호기심에 읽었는데, 이는 파리 외교관과 사랑에 빠진 조선궁녀 이야기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리심이란 여인을 설명하자면, 외형은 무척 가냘프고 사랑스러우나 성격은 자신의 생각을 굽히지 않고, 자신의 주장을 끝까지 펼피는 여인이다. 그 시절에는 프랑스 외교관이 남편이였기 망정이지, 평범하게 살았다면 소박을 맞아도 몇번을 맞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책을 읽으면서 리심에 대한 여인의 삶을 돌아보는 것도 무척 좋지만, 여기선 그 외에의 것도 느낄수 있어서 좋았다. 우선, 책을 읽을수록 고종시대의 전반적인 상황을 알수 있게된다. 을미사변이나, 갑신정변 등 소설이긴 하지만, 역사적 사실들을 쉽게 접할수 있어서 한국사 공부도 하고, 재미있는 소설책도 읽는 일석이조랄까?
두번째는 나라마다의 특성이나 본성을 잘 묘사했다는 느낌을 받는다. 리심은 조선에서 일본으로, 프랑스로, 탕헤르까지 그 시절에는 드물게 다른나라를 접한 여인이다. 그래서 그런 나라들을 많이 묘사하고 있는데, 특히 프랑스 사람들을 묘사하는 부분에서 참 무섭다는 생각이 들었다. 리심을 사랑하면서도, 자신의 외교관 신분을 잃고 싶지 않았던 빅토르 콜랭은 다른 사람들에겐 리심을 자신의 아내라고 소개하지만, 진실은 혼인신고도 올리지 않으며, 사랑하는 여자 리심과 자신의 외교관이란 신분을 마지막까지 저울질 하다가 결국은 리심을 포기하는걸 보며 무섭다라는 생각까지 들 정도였다. 또한, 면전에서는 제일 친한 친구처럼 굴지만, 결국은 리심을 하나의 미개 동물로서 극장에 넘기는 쥘리에뜨는 섬뜩할 정도이다.
실제론, 책 내용처럼 왕이 여자 하나를 두고 외교관과 나라의 안보를 줄다리기 하지는 않았겠지만, 고종은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궁녀를 다시 돌려 받는다고 하고, 빅토르 역시 자신의 아내를 자신의 소유물인양 돌려달라고 한다. 이에, 리심은 그 어느 소유물도 아닌 자신은 리심일 뿐이라며 나중에 자살을 하는데, 그런 그녀가 그 어느사람보다 멋지고 존경스럽기까지 했다.
어떻게 보면 그저 외교관과 궁녀간의 사랑이야기 처럼 보이지만, 이 책속에는 그 외에 참 많은 것들이 들어가 있는 듯하다. 여러나라를 돌아다니며 그 문화를 익히고자 서책을 읽고 정리하는 빅토르의 모습에서 나도 죽을때까지 그렇게 탐구하고, 책을 읽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고, 탕헤르를 겪고나서 조선으로 돌아와 아이들을 교육시키고자 노력하는 리심을 보면서, 자신의 지식을 자신에게만 국한하지 않고 나눌 수 있는 마음을 볼 수 있었다.
책을 읽으면서, 내내 리심이란 여인을 드라마로 만들면 참 재미있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2007년에 영화화 된다고 한다. 이 재미있고 방대한 내용을 어찌 2시간정도에 다 담을 수 있을지 기대가 되고, 영화 또한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