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픈 북 - 젊은 독서가의 초상
마이클 더다 지음, 이종인 옮김 / 을유문화사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나이가 들면서 문학,음악,예술분야에 모두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보면 살짝쿵 부러운 느낌이 들면서 그동안 나는 모했나 하는 자괴감까지 들게 된다. 초,중,고등학교때 벼락치기로 무조건 암기했던게 지금 이나이가 되서 머릿속에 남아있을리 만무한 것이다. (이럴땐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을 한탄하게 된다.) 이런 생각이 들던중 읽게된 책이었다. 처음엔 그저 책소개하는 책인줄 알았다. 그러나 읽으면 읽을수록 작가의 삶이 너무나 부러웠고, 끊임없이 여러책을 읽어가면서 자신의 지식을 넓혀가는게 존경스러웠다.
어렸을때부터 책읽는 것이 가장 즐거운 시간이었고, 거기에 암기력까지 좋아 읽은 책의 내용은 왠만하면 기억을 할 수 있는 우리의 저자는 이런저런 책을 읽으며 유년시절을 보내게 된다. 너무나 책에 빠져있기에 생산적인 일은 하지 못한다는 아버지의 핀잔과 구박이 있었지만, 그래도 꿋꿋하게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즉 책을 계속 읽는다. 그 없는 살림에 돈을 쪼개가면서 아님, 약방에서 힘든 자세로 공짜로 새책을 읽으면서...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스스로 본인의 욕구에 의해 읽은 책이기에 그 내용의 기억은 오래갈수밖에 없을뿐더러, 알고 싶었던것을 깨달으며 읽는터라 그의 지식은 깊고만 깊어간다. 고등학교때 선생님들이 놀랄정도로...(아마 모르긴 몰라도 그를 눈의 가시로 생각하는 선생님도 있었으리라) 대부분 그가 읽은 책의 종류가 방대하여 읽은 책 목록에서 내가 읽은 책은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이지만, 나도 그 목록대로 한번 읽어볼까 하는 의지도 불끈 들기는 들었다.
어디 책뿐인가? 그는 음악에 대한 열정도 있었다. 대학교 재학시 음악을 좋아하는 친구를 만나, 그는 음악의 아름다움에도 푹 빠져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경지에 까지 오른 것이다. 아주 지식인의 여러박자를 고루 갖춘 더다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작가의 삶 자체가 존경스럽고 부럽기도 했지만, 특히 대학교때의 생활이 무척 부러웠다. 교수님들의 끊임없는 연구와 학생과 교수와의 활발한 의사소통이 작가의 충만한 지식에 일조를 하지 않았을까? 요즘 우리나라의 교수들처럼 교수될때까진 끊임없이 채용되려고 노력하다가 채용되고 나면 이건 교순지, 사업간지 돈버는데에 혈안이 되어 학부생, 석사학생들의 능력으로 자신의 수입을 늘리려는 교수가 없질않나, 거기에 이젠 다른사람의 논문까지 복사하는 교수까지 생겼으니 정말 개탄할 노릇이다. (물론, 일부만 그럴것이다. 그렇게 믿고 싶다.)
책 읽는 내내 여러 생각이 들었다. 어릴때부터 독서의 중요성, 작가의 끈질긴 근성, 많이 다른 외국와 우리나라의 교육현실 그리고 대학생활... 어떻게 보면 한사람의 유년시절의 독서일기 같지만, 문화가 다른 나라 사람의 일기라 외국과 우리나라의 다른점도 엿볼수 있어서 좋았던것 같다. 나중에 내가 자식이 생겨서 이런책을 이해할 나이가 되면 꼭 권해보고 싶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