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중반에 공부는 그만 하면 됐으니 적당한 사람을 만나 시집가란 말을 처음 들었다. 당시 내가 들었던 말의 정확한 워딩은 기억나지 않지만 내가 받았던 인상은 이러했다. 지금까지의 너의 삶은 결혼을 위한 스펙쌓기에 지나지 않아.
왜냐하면 그때 내 대답만큼은 또렷이 기억나기 때문이다. "그러려고 지금까지 날 교육시켰어?"
그때까지의 나는 이 사회의 공적인 영역 어딘가에 내 몫의 자리가 있는 줄 알았다. 나의 적성과 재능이 맞는 곳에서 가치를 창출하며 누군가를 이롭게 하고 공동체에도 기여하는 삶을 살 줄 알았다.
나는 늘 모범생이었고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했다. 그렇게 산 이유 중엔 분명 그런 목적의식도 있었다.
그런데 그게 다 결혼을 위한 것이었다고? 그 순간 내 온 존재는 쪼그라들어 세상에서 가장 보잘 것 없는 것이 되었다. 나는 딱 사라지고 싶었다. 다른 누구도 아닌 우리 엄마가 설마 그런 말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공부는 언제든 내 방패가 되어주었기에, 그때의 나는 대학원에 갔다. 미국으로 갔다.
<캘리번과 마녀>를 읽으면서, 자본 축적 시기에 노동자와 여성에게 벌어졌던 일들이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들과 놀랍도록 유사해서 소스라쳤다.
(152) 곧 가내여성노동은 모두 "집안일"로 분류되었고, 가외여성노동에 대한 보수도 남성노동의 보수에 비해 적었으며 생계유지에도 불충분했다. 결혼이야말로 여성의 진정한 직업으로 인식되었다. 여성은 당연히 생활능력이 없는 것으로 여겨지게 돼서, 독신여성은 설사 임금을 받고 있는 경우라 해도 마을에 정착하지 못하고 쫓겨났다.
가장 분통이 터지는 점은 중세 후기에 이미 인류에게 기회가 있었다는 것이다. 자본주의를 택하지 않을 기회, 여성을 공유재로 착취하지 않을 기회, 부와 계급과 젠더 면에서 보다 평등한 체제를 모색할 기회.
나는 지금도 차별 일반이 이해되지 않는다. 여성, 아이, 장애인, 성 소수자와 같은 사회적 약자, 인간 종이 아닌 다른 생명체에 대한 착취와 혐오는 결국 그 착취와 혐오를 가한 주체에게 되돌아와 매우 비싼 대가를 치르게 한다.
이 책에서도 그런 예를 찾을 수 있다. 흑사병으로 인구가 크게 줄어들자 노동력이 부족해졌고, 노동자들은 유리한 고지에서 반봉건투쟁과 지위 상승 투쟁을 벌일 수 있게 된다. 특권을 잃고 싶지 않았던 귀족, 성직자, 부르주아는 노동자들의 연대와 결속을 와해하기 위해 여성 혐오 카드를 꺼내든다. 더 낮은 계급의 여성에 대한 집단 강간을 합법화하고, 매음굴을 조성하고, 재생산 노동의 가치를 격하시킨다. 재생산의 가치가 떨어지면 노동력의 가치도 떨어진다. 여기에 인클로저와 "가격 혁명"이 더해지자 노동 임금은 폭락했고, 노동자 계급 전체가 빈곤과 굶주림으로 내몰린다. 이제 당면과제는 오로지 먹고 사는 문제로 귀결한다. 자유와 평등을 위해 뜻을 모을 수도 있었을 사람들이 이제 빵을 위해 서로를 약탈한다. 다수가 먹고 사는 문제에 허덕일 때 소수의 특권 계급은 견제없이 권력을 휘두를 수 있게 된다.
(134) 자본이 자신의 규칙을 강요하기 위해서 노동력으로부터 재생산 수단을 박탈해야만 하는 만큼, 빈민화, 반란, "범죄"의 증가는 자본축적의 구조적 요소다.
그런데 인간이 정말 이 정도로 어리석다고? 이 정도로 조작당하기 쉽다고? 본인이 저지르는 차별과 혐오의 대가에 정말 이 정도로 무지하다고? 아렌트까지 갈 것도 없다. 당장 주변만 둘러보아도 살아 숨쉬는 예시들이 수두룩하다. 아직 본격적인 마녀사냥까지는 들어가지도 않았는데 마음이 너무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