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문제는 컨텐츠다. 

컨텐츠만 있으면 길은 만들 수도 있고, 이미 만즐어진 길을 이용할 수도 있다. 

링서스나 북스 MBA는 좋은 길이 될 수 있다. 

 

후회스러운 것 몇 가지를 생각했다. 

서울까지 온 것, 

결혼한 것, 

아파트, 

자동차. 

분에 넘치게 너무 멀리 온 것 같다. 

고향에서, 

홀로, 

아버지 집에서 어머니와, 

자전거나 오토바이를 타며 살 걸 그랬다. 

이 바쁘고 복잡한 도시에서 이렿게 사는 것이 과연 내 목표였는가? 

이 곳에서의 삶이 행복을 줄 수 있을 것인가? 

결혼도 그렇다. 

나는 남편이나 아버지가 될 자격이 없는 사람이다. 

경제적으로도 그렇고, 정서적으로도 그렇다. 

나처럼 정 없고, 무심한 사람이 무슨 가족을 이끌겠다고... 

원래 내 그릇은 훨씬 작음을 안다. 

어렸을 때는 그 작은 그릇이 답답하여 어쨌거나 뛰쳐 나오고 싶었다. 

목적은 서울에 오는 것이 아니라 고향을 벗어나는 것이었다. 

그 동네가 싫었고, 아버지 집이 싫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그곳이나 이곳이 별반 차이가 없다. 

오히려 껍데기와 내용의 간격으로 불필요한 고생마저 사서 하고 있다. 

고향으로 돌아가서 매달 개인용돈 50만원 정도 쓸 수 있는 소시민으로 살면서 친구들과 친척들, 책과 인터넷을 벗하며 살고 싶다.

하지만 돌이키기란 얼마나 어려운가? 

그저 넋두리라도 하며 정서라도 정화시킬 뿐. 

 

커피로 깨고, 사워 못한 찜찜함으로 깨다가 오늘은 목감기의 고통으로 깼다. 

이렇게 불편한 목감기는 처음이다. 

바삭바삭 마르고, 탁탁 갈라진다. 

침도, 물도 넘기기 거북하다. 

물을 끓여 레몬티백을 담가 놓고도 이렇게 타자질만 하고 있다. 

생후 한 달이 갓 지난 둘째가 두 시간 단위로 깨서 보챈다. 

아내는 더, 더 힘들다. 

 

내가 우수보험설계사가 됐다는 공문이 내려왔다. 

헛, 참! 

작년 여름에 운 좋게(은혜로) 받은 계약 때문이다. 

기분이 나쁘진 않지만 내 수고 없이 받은 거라 쑥스럽다. 

하지만, 명함에도 새기고 앞으로 나를 부를 땐 "우수보험설계사님!"이라고 부르라고 능청을 떨고 싶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고 그렇게 불리다 보면 정말 우수한 보험설계사가 될 지 누가 알겠는가? 

시간이 지날수록 계약하기가 어렵다. 

계약할 대상이 줄어드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보다 함부로 계약을 할 수 없게 된다는 뜻이다. 

내게는 그저 커미션이 주어지는 한 건의 계약일지 몰라도 고객에게는 삶의 소중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전 가족이 감기에 걸렸다. 

아내와 첫 애는 3주 전부터, 나는 지난 주말부터다. 

오늘도 할 일이 많은데... 

꽤 피곤한 하루가 돼겠군. 

어제는 한 고객이 전화를 해서 어찌나 고객행세를 해대는지... 

속으로, '저는 당신 같은 분 고객으로 모시고 싶지 않으니 다른 설계사 소개시켜드리고 싶습니다.'고 했다. 

하지만 참았다. 

그렇찮아도 보험설계사는 사회적으로 불가촉천민으로 취급 받는데 

나까지 곤조를 부린다면 누워서 오줌 누는 꼴일 것이다. 

 

앞으로 내 삶은 어떻게 될까? 

쥐구멍에도 볕뜰날 있을까? 

내 쥐구멍에 뭐 볼 거 있다고 빛이 필요할까? 

같은 시간을 자도 조각잠은 한 번의 긴 잠만 못하다. 

피곤하다. 

두 번째 조각잠을 청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산후도우미가 가신 후 무조건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로 아내와 약속했다. 

9시에 자면 3 ~ 4시에 일어나 큐티도 하고, 책이나 신문도 읽을 수 있을 수 있을 것이었다. 

늦게 잤는데 일찍 일어났다. 

커피와 샤워 못한 찜찜함 때문이다. 

 

안녕! 

내 안의 어린 예술가여! 

창조성이여!

매일 너와 얘기하기로 했었는데... 

매주 너와 데이트 하기로 했었는데... 

 

나의 이런 짓거리들이 내게, 내가 사는 이 세상에 무슨 의미와 재미가 있을까? 

먼저, 나 자신과의 소통

스스로와의 소통을 통한 이웃과의 소통 

한편, 인터넷은 소통의 과잉을 초래 

 

生業 : 생계를 위한 직업 

樂業 : 즐기기 위한 직업 

 

어린이 날이다. 

오늘도 출근하는 날인줄 알았다. 

첫째와 어떻게 하루를 보낼까? 

가방을 잘 꾸려 다녀야 한다. 

생수, 물티슈, 휴지, 여벌 옷, 모자, 디캠은 기본 

단 것을 많이 먹이지 않아야 한다. 

밀가루 음식이나 튀긴 음식도 마찬가지 

상암에 축구 보러 갈까 했는데 아이가 싫단다. 

전쟁기념관에 가서 비행기와 탱크를 볼까? 

사무실 근처 고궁에 다닐까? 

영화관에 갈까? 

아니, 영화도 볼까? 

차를 가지고 다녀야겠구나. 

 

불안 

지위 불안 

지금 누리는 것을 잃을까 하는 불안 

갖고 싶은 것을 갖지 못할까 하는 불안 

 

생업, 가정, 교회, 사회, 나 

아니 

나, 가정, 교회, 생업, 사회 

 

나, 북 프리젠터 

가정, 남편, 아빠, 아들, 오빠, 형, 조카, 외삼촌, 사위, 이모부, 동서 

교회, 집사, 선배, 조장모임 서기, 안내팀장, 편집모임 리더 

생업, 보험설계사, 펀드투자상담사, 세일즈맨, 을 

사회, 총무, 회원 

 

불안 

복잡성으로부터 

포스트모던적 인격 

이를 아우를 일반적 자아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미있는 시작은 늘 이러했다.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다. 

나 혼자 설렜었다. 

짝사랑할 때의 느낌이랄까? 

지금 나는 책과 사랑에 빠졌다. 

다른 것이 안보인다. 

이 녀석과 사랑에 빠진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현실도피적 이유도 있을 것이고, 새로운 희망을 싹틔우고자 하는 뜻도 있을 것이다. 

 

책, 너를 무어라 부를까. 

나만이 부르는 이름이 있었으면 한다. 

素喜(소희, 순결한 기쁨)라 할까? 

너무 비현실적인가? 

현실에서 상처를 받을라나? 

어차피 너는 이상이고 추상이 아니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커피 탓이다. 

내 탓이 아니다. 

어제 오후에 사람 만나기 전, 사람 만나, 만난 후 나 혼자 연거푸 석 잔을 마셔댈 때 이런 새벽이 예상됐었다. 

 

조용히 책 읽고 글 쓰는 환경이 좀 주어졌으면 좋겠다. 

아이가 5일간 입원하고, 

월 초라 또 계약을 쪼고, 

주제 넘게 괜히 교회에서 일을 벌여가지고선 쩔쩔매고, 

잡생각은 끝이 없고... 

 

이게 나다. 

나는 다중복합인격체다. 

교회에서, 집에서, 사무실에서, 그리고 혼자일 때 나는 제각각이다. 

나름 성실한 집사, 평균 좀 못 미치는 가장, 3류 보험설계사, 그리고 철부지.

 

처음 커피를 마실 땐 냉동동결건조포장된 알갱이 커피와 소위 프리마라 불린 크림가루와 하얀 설탕이 커피의  필수 3요소인 줄 알았다. 

근데 요즘은 에소프레소 원액만 마시기도 하지만 

거기에다 온갖 걸 섞어 마시기도 한다. 

나는 인간이다.  

신도, 동물도 아니다.  

그것도 커피처럼 온갖 것이 섞인 복잡한 인간이다. 

 

나는 아무래도 설탕이 너무 섞인 싸구려 다방커피같다.  

싸구려 커피. 

거 요즘 인기두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씨앗에서 정말 싹이 나고 꽃이 필까? 

열매를 맺고 씨를 퍼뜨려 개체를 번식시킬 수 있을까? 

 

서재를 꾸민지 3주 됐다. 

기질적 조급성이 슬슬 나타난다. 

시간이 부족하고, 내 수준에 답답하다. 

가난한 첫 마음은 벌써 어디 갔는가? 

한 단어, 한 문장만이라도 써 보겠다든 순수는 벌써 엿장수 리어카에 던졌는가? 

 

참! 

재밌고 의미있는 질문 몇 가지 드려 볼까요? 

1. 마케팅을 우리 말로 뭐라 표현하세요? 

2. 콘텐츠를 우리 말로 어떻게 표현하세요? 

3. 인문학이 뭐죠? 

4. 철학은 또 뭐죠? 

5. 철학을 '지혜의 지식(science of wisdom)'이라고 한 걸 봤어요. 그럼, 지혜는 뭐라고 할 수 있죠? 

gnivil fo tra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풀칠아비 2010-04-27 1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너무나 어려운 질문들입니다.
오래간만에 백지 답안지 제출하고 갑니다. ㅠㅠ

Bookee 2010-04-28 04: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출제자에게 반항? 다른 의도는 없구요... 그저 다른 사람들은 이런 물음에 어떤 나름의 답을 갖고 살고 있나 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