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름 나쁘지 않았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탁월한 사람에게 규칙적인 습관이란, 야망의 또 다른 표현이다." 위스터 휴 오든(시인)
- P8

나는 피터 틸에게 "미래를 결정지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트렌드는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그의 대답은 뜻밖이었다. "트렌드는 중요하지 않다. 미래의 삶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건 ‘사명감‘이다."
일단 어떤 트렌드가 생겨나면 곧장 엄청난 사람들이 몰려든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어떤 한 가지 일에 매달리면 경쟁은 치열해지는 반면 차별화는 약해진다. 따라서 1등을 차지하지 못하면 트렌드는 의미가 없다. 망한다는 건 ‘특정 트렌드의 n번째 순위‘를 기록하면서 사라진다는 뜻이다. 트렌드를 탐색하는 시간을 내신해 우리는 ‘사명‘을 찾아야 한다. 사명이란, 다른 사람들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찾아내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은 엄두도 내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이다.

<인생을 걸어볼 목표를 찾아라 中>
- P45

(...) ‘사람들이 내 제품을 사지 않는 건, 더 많은 돈을 지불하고서라도 내 것보다 더 좋은 걸 사려고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당신의 물건이 비싸서 안 사는 게 아니다. 더 좋은 걸 사려는 것뿐이다.

<레드팀을 이끌어라 中>

- P66

주의할 것은 여기서 10분, 저기서 10분씩 조각조각을 모아 120~180분을 만들면 안 된다는 것이다. 오로지 한 가지에 집중할 수 있는 2~3시간을 확보하면 빠른 속도로 다시 성과를 내는 영웅적인 날들로 복귀할 수 있을 것이다. 2~3시간을 한 가지에 집중하면, 반드시 그날 한 가지의 성과는 남길 수 있다고 타이탄들은 한 복소리로 말한다.

<영웅적인 날들로 복귀하라 中>

- P75

"바보 같은 짓으로 보일 수도 있겠디만 이 일은 너무나 중요하다. 사업이든 인생이든 기어코 성공하고 싶다면, 당신은 늘 사람들에게 뭔가를 부탁해야만 하고, 늘 무리한 일을 시도하면서 살아야 한다."

<바깥으로 나가라 中>

- P140

피터에게 그의 삶을 성공적으로 견인해가는 ‘28가지의 법칙‘이 있다.(...)

법칙2 선택할 수 있을 때는 두 가지 모두 선택하라.
법칙3 프로젝트가 여러 개라야 성공도 여러 개가 될 수 있다.
법칙6 어쩔 수 없이 타협해야 할 때는 그 위에 요구를 더 추가하라.

<10배 크게 생각하라 中>
- P154

비록 배우로 대성할 수는 없을지라도, 어떻게든 배우만 될 수 있다면 남들이 싫어하는 일일지라도, 내가 원하지 않는 일일지라도 모두 기꺼이 할 수 있다는 용기가 생겼기 때문이다.

<타이탄들은 어떻게 두려움을 극복하는가 中>

- P166

하루의 마무리가 좋으면, 그 좋음이 밤새 이어져 새로운 아침을 좋은 기운으로 시작하게 한다.

<텅 빈 공간에 홀로 서라 中>

- P1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주 인상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처럼 기억이 끊겨서 연속성을 잃어버린 존재를 과연 ‘존재‘라고 말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해야 했다. (...) 흄은 이렇게 말했다.

감히 말하자면 우리는 무수하고 잡다한 감각의 집적 혹은 집합체에 불과하다.

<길 잃은 뱃사람 中>

- P62

어떤 의미로 그녀는 ‘척수를 빼내버린‘ 상태였고 몸을 잃은 혼과 같았다. 고유감각과 함께 근본적인 것을 잃은 것이다. 정체성을 기질적으로 유지해주는 것을 잃어버린 것이다. 그것은 프로이트가 자아의 토대라고 생각한 것이다. ‘자아란 무엇보다 육체적인 것이다.‘

<몸이 없는 크리스티너 中>

- P99

그들은 자신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깨닫지 못하는 환자들이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아를 상실한 환자들이고, 질병으로 고통스러워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실은 신에게 훨씬 가혹하게 버림받은 환자들이기 때문이다.

<정체성의 문제 中>

- P200

슈퍼 투렛 증후군 환자는 진정한 인간, 어디까지나 ‘개체‘다운 존재로서 살아가기 위해서 끊임없이 충동과 싸워야 한다. 투렛 증후군 환자들은 아주 어린 시절부터 진정한 인간이 되는 길을 방해하는 무시무시한 장벽에 직면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것이야말로 ‘경이‘라고 불러도 지나침이 없지만, 그들은 싸움에서 승리한다. 살아가는 힘, 살아남아야겠다는 의지, ‘개체‘다운 존재로서 살고 싶다는 의지력이야말로 인간이 지닌 가장 강력한 힘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어떠한 충동이나 병보다도 강하다. 건강, 싸움을 겁내지 않는 용맹스런 건강이야말로 항상 승리를 거머쥐는 승리자인 것이다.

<투렛 증후군에 사로잡힌 여자 中>
- P2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적절한 비유와 예시로 아주 쉽고 친절하게 잠에 대해 설명해 주는 책.

이 책을 읽고 나의 수면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점검하게 되었다. 여러 사람들에게 추천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